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금속 화폐나 종이 화폐도 갖고 있는 문제예요.그리고 무엇보다 아직까지는 비트코인의 전체 가치가 범죄에 활용될 만큼 크지 않아요. 예를 들어 현재까지 발행된 비트코인의 가치를 환산해도(2013년 11월 말 현재 약 9조 3700억 원) 전세계 부자들이 숨겨 놓은 재산(최소 2경 868조 원)보다 훨씬 작거든요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수 있다. 암흑에너지와 수정중력, 둘 중 어느 것이 우주를 가속팽창시키고 있을까. 우주전체에 반중력이 작용하는 걸까, 아니면 거대 규모에서는 중력이 약해지는 걸까. 설마 우주의 최대 수수께끼로 불렸던 암흑에너지가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단 말인가.지구와 은하의 거리를 알려주는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주한 대형사업인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 차관사업의 경우 도시 전체를 통째로 개발하는 프로젝트도 있어요. 도로와 상하수도 기반시설을 설치하고, 다리와 댐을 만들면서 그 지역에서 30년 간 사업권을 확보하는 식이지요.”김 교수는 건축과 건설의 차이점을 명쾌하게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2018년부터 5년 동안 우주를 관측한다. 인류가 관측할 수 있는 밝은 은하의 3분의 1 이상, 전체 하늘의 3분의 1을 탐사할 예정이다. 역시 미국이 주도하는 LSST는 8m급 망원경으로 BAO, 초신성, 약한 중력렌즈 현상을 관측하며 2020년경부터 10년 동안 관측할 계획이다.암흑에너지 탐사는 우주에서도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안에 들면 일단 합격입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대형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 극장은 전체 공간에 비해 좌석 수가 너무 많은, 나쁜 공연장의 대표입니다. 현재는 좌석이 3000석 정도로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1인당 부피가 6~7m3입니다.청중은 가장 예측할 수 없는 변수입니다. 만석일 때와 비었을 때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불러일으키는 심각한 증상이다.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성인 ADHD 환자가 전체 인구의 약 2~4%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이는 어린이 환자 비율인 5%(가벼운 경우는 약 8%)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어려서 ADHD를 겪은 사람의 절반이 성인 ADHD로 고통 받는다는 뜻이다. 이들 중 상당수가 부주의함에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맞이하는 우주가 있을 수 있고, 어디선가는 새로 태어나는 우주가 있을 수 있다. 이 전체가 우주라면 우리가 아는 우주가 끝장난다고 해서 우주의 종말이라고 부를 수는 없지 않을까. 사실 먼 미래에 우주가 어떻게 종말을 맞이하든, 현재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렇다고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예측하기가 어렵다. 블랙아웃을 막기 어려운 이유다.실제로 1965년 11월 9일, 미국 북동부 전체가 정전으로 마비된 적이 있다. 80만 명의 승객이 퇴근길에 뉴욕 전철에 갇혔고, 모든 기차가 정지했다. 착륙을 시도하던 비행기는 한동안 공항 상공을 맴돌아야 했다. 3000만 명을 공포에 떨게 했던 이 사건은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헤엄친다고 인정해 줬어!그 연구팀은 유리로 된 투명한 모래에서 내가 헤엄치도록 해서 전체적인 움직임을 관찰했어. 그리고 이때 내 몸통에 일정 간격으로 센서를 연결해서 언제 어느 근육에 힘을 주는지 확인했어. 나는 머리 쪽 근육부터 시작해서 몸통의 근육, 그리고 마지막으로 꼬리 근육을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진화 과정에서 입은 더욱 향상된 기능을 지니게 됐다. 양서류에서 파충류까지는 먹이 전체나 먹이를 크게 잘라 삼키는 방식으로 먹는다. 반면 수궁류(현 포유류의 조상)에 이르면 크고 작은 어금니가 왕관 모양의 뾰족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해 먹이를 잘게 부수거나 자를 수 있었다.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