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타격
손실
수난
d라이브러리
"
피해
"(으)로 총 2,86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오염 상식 잘못 알려진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남극 빙하뿐만 아니라 북극 빙하도 녹는 것이 자연의 이치다. 그러나 지구온난화의
피해
로 남극의 빙하를 주로 들먹이는 것은 남극 빙하는 대부분 대륙위에 있기 때문에 해수면 상승에 보다 빠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지구온난화와 관련, 또 하나 지적할 것은 미국과 일본의 모순적 태도다. 전세계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온라인 입금거래를 하지 마시고 가급적 직접 만나서 거래를 하시기 바라며, 뜻밖의
피해
를 입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글은 다른이의 마음으로 들어가는 길입니다. 준비되었다면 지금 두들기십시오. 활짝 열려 있습니다. 단! 나 아닌 남을 볼수 있는 여유가 필요합니다.그렇지만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을 비롯한 외계인과의 투쟁을 그린 영화들은 외계 이방인에 대한 불안과 공포의 심리가
피해
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라 할 수 있다.그런데 지적인 외계 생명체는 과연 존재할까. 사실 이 점에 대해선 아직도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환경에 따라 그 환경에 맞게 신진대사를 하는 ... ...
1. '정보의 바다'에는 암초가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학교의 기밀이든 간에, 이 때문에
피해
를 보는 사람의 입장은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물론
피해
가 갈 만한 모든 정보에 대해서 보안을 철저히 한다면 이는 작은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또하나의 기술적인 문제는 바로 보안이다. 인터넷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스케이프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정신적
피해
는 참으로 컸다. 특히 엄청난 돈을 들여 만든 까닭에 국민의 관심은 차츰
피해
액으로 쏠렸다. 무궁화 1호에 들어간 비용은 위성 설계비와 제작 발사비용을 통틀어 1억3백91만 달러다. 이 비용을 보험사로부터 돌려받게 되자 그때서야 여론도 다소 수그러들었다.무궁화1호를 발사했던 ... ...
장군석 발견으로 최연소 학술원상 받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그러나 나는 외롭게 살아온 것 같지 않다. 사람에게 있어 가장 행복한 시간은 남에게
피해
를 주지 않는 일에 몰두하면서 이해관계를 떠나 자기 자신을 잊어버릴 수 있는 때라고 생각한다. 나는 내 인생에 있어서 신나고 보람있게 일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가를 고민한 끝에 학자의 길을 선택했다 ... ...
금속활자와 인쇄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조선말기의 학자 어윤적(漁允迪)은 이 시기를 1234년으로 보았다. 그러나 몽골의 침입을
피해
1232년 강화도로 수도가 옯겨가기 전에 남명천송증도가(南明泉頌證道歌)를 활자로 찍었다는 기록이 진양공 최의가 쓴 글에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활자의 발명과 이를 이용한 인쇄는 강화로 피난가기 전 ... ...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눈길을 끌었다. 모든 글들이 게재될 수준을 갖췄지만 10월호의 내용과 중복되는 글들을
피해
최종적으로 3편을 선정했다. 글을 보내주신 모든 독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또하나의 종교적 신념, 진화론메커니즘 불확실하고 대안도 없다과학철학자 칼 포퍼나 토마스쿤이 지적한 것처럼, 과학연구는 ... ...
법학-죽는 사람에게도 권리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발달로 뇌사자의 장기이식은 법이 있건 없건, 오늘도 내일도 계속될 것이며, 다행히
피해
자의 정당한 승낙에 따라 자기를 희생하고 남을 살리는 행위를 뉴스로 접할 때마다 우리는 숙연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처럼 자기를 초월하는 도덕적 행위가 법에 의해 보장되지 않으면, 명백한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그리고 익산과 전주 사이의 황등제(黃登堤)를 완전히 개수한다면 노령(蘆嶺) 이남의 가뭄
피해
를 영구히 없앨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벼농사는 수경직파법에서 이앙법(현재의 모내기 기술)으로 바꿨다. 이앙법은 곧 전국적으로 확산 보급됐다. 모내기를 하기 위해서는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