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뉴스
"
살
"(으)로 총 2,55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막의 ‘포장의 기술’ 드디어 밝혀져
과학동아
l
2014.07.28
인터넷으로 주문한 상품은 택배상자나 봉투에 담겨 배달된다. 반찬
살
때는 봉지에 넣어 가져오고, 선물을 할 때는 포장지로 싸서 건넨다. 우리는 이렇게 물건을 전달할 때 무언가로 싸서 주고받는다. 세포도 마찬가지다. 세포는 신호(단백질)나 약물을 다른 곳으로 보낼 때 막으로 싸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의사들도 수술을 꺼리는 태도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위비 교수는 15
살
에 첫 발작을 일으킨 뒤 수년 동안 거의 매주 발작을 일으켜온 샌드라라는 환자가 온갖 약물치료가 실패로 돌아간 뒤 54세가 돼서야 왼쪽 측두엽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한 뒤 3년 째 발작이 일어나지 않아 지금은 ... ...
‘소금 이불’ 덮고 자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14.07.28
물이 필수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물이 없는 환경에서도 생물이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또 고메즈 교수는 “목성 위성인 유로파와 화성의 표면에서도 소금 이불과 비슷한 무늬가 많이 발견된다”면서 “어쩌면 미생물의 활동 결과일 지도 ... ...
[표지로 읽는 과학]지구에서 사라진 생물을 기리며
과학동아
l
2014.07.27
해결책도 함께 실렸다. 뉴질랜드 오타고대의 필립 세든 교수는 리뷰 논문에서 동물이
살
수 있는 집단을 만들어 종 복원에 성공한 사례를 소개했다. 또 최근에는 개체를 선택해 교미하는 방법이나 발달한 복제 기술을 통해서도 종 복원을 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이밖에도 ... ...
“당신은 동요하고 있습니까?”
과학동아
l
2014.07.27
새로운 분기점은 담요로 덮여있던 닉의 하반신이 우연히 노출되는 순간 찾아온다. 피와
살
로 이뤄진 다리는 온데간데없고 외계인의 기술로 만들어진 차가운 의족이 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당황과 절망 속에서 닉은 위치도 목적도 알 수 없는 이 수용소에서 탈출하기로 마음 먹는다. 외계인 ... ...
[채널A] ‘가시 공격’ 내향성 발톱 급증…예방법은?
채널A
l
2014.07.22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발톱의 양옆 모서리가
살
에 닿지 않도록 발톱을 1mm 정도 여유 있게 잘라야 합니다. 또 자신의 발보다 5mm 정도 큰 신발을 신는 것이 좋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721/653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회식 단골 메뉴 삼겹
살
에 대한 고찰
과학동아
l
2014.07.20
열량을 많이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키콜트-글레이저 박사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살
이 찔 우려가 있으므로 열량이 낮은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 ...
마셜 박사가 헬리코박터균을 마신 이유
과학동아
l
2014.07.20
건강지표로 여겨지기 때문에 가장 빨리 늙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장과 신장을 잘 보
살
피는 일은 장기의 시간을 늦추는 데 매우 중요하다. 건강한 장기의 색깔은 ‘핑크’다. 특히 장기의 시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토콘드리아가 건강한 장기는 핑크를 띤다. 저자는 핑크근육의 ... ...
이대 박석순 교수 “큰빗이끼벌레 유해? 수질정화 기능”
동아일보
l
2014.07.14
낙동강에서도 약 300개체가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질이) 아주 나쁜 데는
살
수 없다. 왜냐하면 이게 산소를 호흡하는 동물이다. 그런데 수질이 나쁜 데는 산소가 없어 못 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국 곳곳 하천에서 다 나오는 데 마치 4대강 때문에 나왔다고 하는 건 잘못 된 생각"이라고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저자가 각 유형의 요리를 직접 배우면서 체험하는 과정을 기록하며 이론이라는
살
을 붙이는 형식인데, 3부에서도 제빵을 배우는 과정이 실감나게 묘사돼 있다. 발효종 얘기도 이스트를 쓰는 요즘 빵이 아닌 빵의 원형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즉 빵 반죽에서 일어나는 발효의 실체를 몰랐던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