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실험에 성공했다.뇌에 전극을 직접 이식하는 방식이
정확
하고 편리하긴 하지만 위험이 따른다. 임창환 교수는 “뇌를 건드리는 수술인 만큼 간질이 생길 수 있고, 감염의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문제점도 있다. 임 교수는 “전극을 이식한지 5년이 넘도록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모두 꿰뚫고 있다. 자연을 움직이는 법칙도 모두 알고 있다. 따라서 미래가 어떻게 될지
정확
하게 계산해 낼 수 있다. 로또 당첨 번호는 물론 올해 대통령 선거에서 누가 당선될지, 심지어 10년 후의 날씨도 모두 알 수 있다.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시몽 라플라스는 1814년에 그가 쓴 저서 ‘철학적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아직도 분명하지 않고 여러 이론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는 결국 현재의 기술수준에서는
정확
한 예측모델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쓰나미는 시속 730km로 몰려온다극한 해양환경의 또 다른 문제는 지진해일(쓰나미)이다. 지난해 일본에서 발생한 쓰나미 사례에서 본 것처럼 복구가 힘들 정도의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쓰인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특이한 생명 현상을 발견하면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정확
하게 확인하는 식이다. 문제는 광학현미경에서 관찰하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그대로 볼 수 없다는 점이다.광학현미경은 빛의 회절 현상 때문에 200nm 이하의 물체는 구분하기 힘들다. 반면에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않고, 가장 높은 건물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 그래서 유전 알고리즘으로 구한 해들은
정확
한 답이 아니라 근삿값이다. 이런 점은 장점이기도 하다. 답에 근접한 다양한 해집합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 속 가상 인물의 개성있는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기에 적당하다.유전 알고리즘의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발사 시에만 로켓의 힘으로 날아간다. 발사 후에는 자유낙하하는 방식이어서
정확
도가 낮지만 많은 양의 폭약을 실어 나를 수 있는 게 특징이다.우리나라는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에 가입한 데다 ‘한미 미사일 양해각서’ 때문에 원칙적으로 사거리 300km 이상의 탄도 미사일 개발, 보유가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타고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운동을 통해 복근을 도드라지게 보일 수는 있지만
정확
하게 6개를 만드는 것은 부모님에게 물려받은 유전자에 달려있는 것이다.➋ 복근은 마라톤 근육, 꾸준히 운동해야 나타나 성질 급한 원 대리는 한 달간 복근 운동을 했음에도 식스팩이 나타나지 않자 슬슬 ... ...
종이 한 장으로 접는 예술, Origami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는 평면 도형을 접어 입체 도형을 만들어 내는 활동이다. 평면 상태인 도면 단계에서
정확
한 설계를 할수록, 입체 상태인 완성 단계의 작품의 완성도가 높아진다.오리가미의 장점 중 하나는 한 가지 도안을 이용해 전혀 다른 모양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토끼의 귀 부분으로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장치가 해중터널의 각 지점에 있는 앵커링을 조절한다.힘을 받는 방향과 시간을 계산해
정확
히 반대 방향의 추진력을 발생시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또 텐션렉 중간이나 앵커링 부분에 외부 힘을 천천히 전달하는 진동 흡수 장치(댐퍼)를 설치한다. 이처럼 복잡다단한 외부 영향을 순간적으로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도 있다. 또 바다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이용해 기후변화를 좀 더
정확
히 예측할 수도 있다. 해수의 온도변화가 바다와 맞닿는 공기에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이다.앞으로 수중 통신도 LTE처럼 빨라질 수 있을까. 김 교수는 현재 수중 통신 기술 수준이 지상의 아날로그 통신 수준에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