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짜디 짠 라면이 좋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9
걱정 말아요. 라면을 비교적 건강하게 먹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스프를 다 넣지 말고
반
만 넣어 덜 짜게 먹어보세요. 또 파와 양파, 양배추처럼 나트륨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라면에 넣는 것도 좋아요. 라면을 먹을 때 우유를 마시면 나트륨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데 도움이 ... ...
추석맞이 특별 먹방 ‘마시따 쉐프 추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7
가장 맛있는 송편을 만들지 한번 기대해 볼까요?”음력 팔월보름인 추석에는 보름달을
반
으로 접은 모양인 송편을 만들어 먹는다.원래 떡을 찔 때 솔잎을 넣는다고 해서 ‘송병’이라고 불렀다.미션2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토란탕“다음은 추석에 먹는 토란탕입니다. 마치 감자처럼 생겼는데 감자와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어린이가 걸어서도 약 30분이면 통과할 거리지요. 하지만 이 터널을 뚫는 데만 무려 6년
반
이 걸렸답니다. 이 지역은 한강 밑의 암석 덩어리에 틈이 많이 있기 때문에 그냥 뚫었다가는 무너질 위험이 있었거든요. 틈에 시멘트를 꼼꼼하게 채워 넣어 가며 조금씩 전진하는 과정이 필요했지요.해저터널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4
”“아…, 혹시 이거 말씀하시는 건가요?”썰렁홈즈가 실수로 달에 있던 레이저
반
사판을 가지고 왔다. 홈즈는 지금 다시 달에 갖다 놓으려고 우주선을 타고 있다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12
전자로 이루어져있다. 전자는 에너지를 받아 흥분하면 ‘들뜬 상태’가 된다. 이때 일
반
적으로는 주변에 있는 다른 원자나 분자로 에너지를 전달해 불안정한 상태를 해소하지만, 고층대기는 공기 밀도가 매우 희박하다. 즉 근처에 다른 입자가 없다. 따라서 흥분한 산소나 질소 분자는 충돌로 얻은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12
핵융합이 뭔지 다들 알아요? 저만 몰라요?일동 …(침묵)성시경 “핵융합은 원자핵이
반
발력을 이기고 서로 합쳐지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질량결손이 발생하며 막대한 에너지가 나온다…”라는데요? (▶2, 3파트 참조)일동 …(더 무거운 침묵)전현무 한국 사람이 들어도 이해가 안 가.타일러 쉽게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
수학동아
l
201412
수학은 현실과 동떨어진 학문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자산으로 수학을 활용할 날이
반
드시 찾아옵니다.”강연 뒤 기자는 세머레디 교수와 단독으로 만나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세머레디 교수는 아벨상 수상 당시 너무 바빠 아내가 인터뷰를 대신한 적도 있었다며 너스레를 떨면서 이야기를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12
구조가 복잡하다 보니 건설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 스텔러레이터에서는 토카막과
반
대로 플라스마 전류가 0이 돼야 하는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일본, 독일, 미국… 최고의 기계 선진국이 도전한다스텔러레이터는 최근 컴퓨터와 기계 기술의 발달 덕분에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12
운전 시나리오 개발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며 “한국형 핵융합로를 건설할 때까지
반
드시 돌파해야 할 공학적 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보다 앞으로 할 게 더 많은 장비라는 뜻이다. 케이스타는 한국을 핵융합의 변방에서 중심부로 단번에 진입시킨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412
“안전에는 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번엔 무사했지만 이번처럼 흔들리는 일이
반
복되면 다리에 치명적일 수 있다. ‘피로파괴’ 때문이다. 피로파괴란 철사를 여러 번 구부려 부러뜨리는 것과 같다. 철사를 한번에 부러뜨리긴 쉽지 않지만 약한 힘을 계속 주다보면 어느 순간 똑 하고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