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필즈상
수상
자도 깜짝 놀랐다! 고3이 정수론 난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무엇인지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필즈상
수상
자도 깜짝 놀랐다! 고3이 정수론 난제 해결Part1. [기획] 수학자 장이탕 다큐멘터리에서 인생 문제를 만나다!Part2. [기획] 카마이클 수 비밀을 밝히다!Part3. [기획] “주변 사람들 말에 신경쓰지 말고 하고 ... ...
[기획] “주변 사람들 말에 신경쓰지 말고 하고 싶은게 있다면 도전하세요!”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에서 발표했는데 최종 4등을 했어요. 이
수상
이 합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해요. Q. 8개월 동안 포기하지 않고 한 문제를 푼다는 게 대단한 것 같아요. 긍정적인 성격 덕분인 것 같아요. 저는 대체로 모든 일에 긍정적이에요. 분명히 문제가 저를 좀먹을 때가 있어요. ... ...
[이달의 책]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잘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기분도 든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인류의 진화 연구가 202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할 줄은. 책 제목의 ‘화석맨’은 오래된 뼈를 트럭 가득 수집하고,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경멸받는 분야를 고독하게 연구하는 이들을 뜻한다. 이번 결과는 화려하게 뽐내지 않아도 꾸준히 제 갈 길을 간 ... ...
2022 노벨 화학상 I 복잡한 화학반응 ‘클릭’ 한 번으로 이뤄내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만난 노벨상
수상
자 I 안주하지 않는 과학자 안주하지 않는 과학자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
자인 배리 샤플리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를 처음 만난 것은 2019년의 일이다. 당시는 필자가 스크립스연구소에 있는 그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시작한 시기다. 구리 촉매를 이용한 1세대 ... ...
[수학 뉴스] 수학자 박진영 교수 ‘실리콘밸리의 노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에게 돌아갔어요. 메이나드교수는 2022 필즈상
수상
자로, 소수에 관해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냈습니다. 꾸준한 업적을 쌓은수학자에게 주는 수학 분야의 브레이크스루상은 다니엘 스필먼 미국 예일대학교 교수에게 돌아갔어요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
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페보 소장의 연구가 중요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노벨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
업적은 “유전체 연구를 통해 멸종된 호미닌과 인간 진화에 대해 새로운 발견을 한 점”이다. 페보 소장은 화석의 형태를 분석하던 방식을 벗어나 유전체를 통해 고인류를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를 ... ...
2022 이그노벨상 I 당신이 생각도 못한 질문 답은 이그노벨상에 있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세계에서 유일한 이그노벨상 공식 전시회인 이번 행사에서는 그간 이그노벨상을
수상
한 결과물을 전시하고 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도 있다.단순히 과학적인 의미만을 놓고 보면 이그노벨상의 업적은 노벨상의 업적보다 중요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이그노벨상은 처음 제정된 이후로 ... ...
[특집] 미래의 생활 공간 해저 도시 속 생활 모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건설을 무사히 마친 후, 3단계까지 해저 도시 범위를 확장해나갈 계획입니다. 지상과
수상
, 심해를 연결해 연구부터 거주까지 가능한 대규모 해저 공간이 될 예정이죠. 미래의 탐사 공간이자 생활 터전이 될 해저 도시미래의 해저 도시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며, 바다 목장을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관한 오랜 난제인 ‘프란틀 추측’을 약 8년에 걸쳐 연구한 끝에 해결한 공을 인정받아
수상
자로 선정됐어요. 배 교수님은 박사후 연구원이던 2009년 프란틀 추측에 도전했어요. 문제를 풀 수 있는 아이디어를 이미 갖고 있어서 금방 답을 찾을 거라 생각했지만 시간은 속절없이 흘러만 갔어요 ... ...
[특집] 어디까지 알아 봤니? 전 세계 지하실험실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교수가 태양과 초신성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를 관측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했다. 태양에서 온 중성미자가 관측될 확률은 1조분의 1(지구를 통과하는 중성미자 1조개 중 1개가 관측된다는 뜻)에 불과하다. 데이비스 교수는 1965년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리드 홈스테이크 금광 지하 1500m에 염소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