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생성 인공지능(AI)이 인간 대신 보고서를 작성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심지어 인간보다 더 잘해내기까지 한다. 인간보다 똑똑한 AI 탄생의 주역은 ‘대규모 언어모 ... 위해선 더 높은 임무 수행률과 외부 실세계와 보다 정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로봇
연구
가 더욱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애니멀스’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390/ani11092664
연구
팀은 “개의 비문이 각각의 개에 대한 고유한 생체인식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죠. 고양이의 경우는 어떨까요. 고양이는 비문을 최적의 생체정보로 보지 않습니다. 코가 작아 인식률을 높이기 쉽지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산화탄소가 증가해 포유류가 살기 적합하지 않은 환경으로 변모하기 때문입니다.
연구
팀은 판게아 프록시마 시대의 지구에서 살아남는 동물은 40~70℃의 기온을 견딜 수 있는 냉혈 파충류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다이아몬드는 판게아 프록시마와 어떤 여행을 할까요. 여기서부터는 상상의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교수들이 만루홈런(고위험고가치
연구
)을 치는 타자가 아닌 번트(쉬운
연구
)를 쳐 출루(
연구
비를 확보)하는 타자가 되는 것에 만족했다”며 자기비판을 한 것이 떠오릅니다 ... ...
[과학뉴스] 어린 티라노사우루스의 숨겨진 생존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성장 흔적이 없어 태어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아기 공룡인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
팀은 어린 고르고사우루스가 갓 태어난 시티페스 엘레간스를 사냥했고, 미처 다 소화시키지 못한 채 죽어 화석으로 만들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캐나다 캘거리대학교 젤레니츠키 교수는 “어린 ... ...
호우, 더 강해진 이유 밝혀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했지요. 실험 결과, 인간이 온실가스를 배출했을 때 호우 강도는 6%가량 증가했어요.
연구
팀은 “인간 활동으로 증가한 온실가스를 제외하고는 호우 강도가 증가한 것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셈”이라고 밝혔답니다 ... ...
업사이클드푸드 어떻게 만들어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압착한 뒤 남은 유박을 그래놀라와 우유로 만드는 조리법을 공개했습니다. 김민영
연구
원은 “유박은 참깨 등 기본 형태로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살균이 필요 없다”며 “유박을 잘게 부수고 기름과 꿀을 넣어 구워주면 단백질바 등의 간식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유박을 12시간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좋아한답니다. Q. 생물 사진을 찍는 것도 좋아하나요? 생물을 직접 발견하고 생태를
연구
하는 것도 즐겁지만, 생물의 모습을 멋진 사진으로 남기는 것도 좋아해요. 제가 뽑은 2023년 베스트 사진은 등검은메뚜기와 넓적배사마귀입니다. Q. 다른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어과동 독자들 ...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단어를 들은 사람의 뇌 반응과 유사했다” 고 말했습니다. 2021년 스위스 델하우지대학교
연구
팀은 150마리의 강아지로 실험한 결과, 강아지가 평균 89개의 단어를 이해한다고 발표하며 언어 능력이 2세 전후의 아이와 비슷하다고 밝히기도 했어요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꼽히는 테렌스 타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UCLA) 교수도 소수 관련
연구
의 업적을 인정 받아 2006년에 필즈상을 탔다. 리만 가설을 비롯한 정수론의 난제도 소수에 관한 문제가 많다. 정시우 학생은 “수학을 공부하면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처럼 소수의 규칙성을 찾기 위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