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쇄점
체인블록
블록
체인지업
지업
타이어체인
타이어
d라이브러리
"
체인
"(으)로 총 42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활자를 드럼 위에 배열한 드럼 프린터, 벨트 또는
체인
위에 배열한 벨트 프린터 또는
체인
프린터가 대표적인 것이다라인 프린터는 한 번에 한 줄을 병렬로 인쇄하기 때문에 인쇄 속도가 빨라 출력량이 많은 소형 컴퓨터나 대형 컴퓨터의 출력장치로 이용된다1872~1935 미국의 영양학자 · 생화학자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착색안료는 적을수록 금속 광택감이 있다카세트 테이프의 하나 메탈 테이프는 자성
체인
순철의 미세분말을 강화 폴리에스테르의 박막에 균일하게 칠한 것이다종래의 카세트 테이프는 자성체로 산화철을 사용했다메탈 테이프는 산화철 테이프에 비해 음질 · 잔류자기력선속밀도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공급장치를 통해 충전된다.우주센터 발사통제동 내 발사체 관제지휘소에서는 2단 발사
체인
KSLV-Ⅰ의 상태를 시시각각으로 점검하기 시작한다. 1단의 내부 온도는 정상인지, 전류는 제대로 흐르는지, 산화제 밸브는 잘 작동하는지 등을 하나하나 확인하고 탑재위성의 상태도 점검한다.발사 15분 전 KSLV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눈을 돌렸다. 거대한 rRNA 두 분자와 수십개의 리보솜 단백질로 이뤄진 분자복합
체인
리보솜은 전자현미경으로도 보인다. 2005년 연구자들은 리보솜 전체를 결정화해 입체구조를 밝혔다. 2006년에는 리보솜에 mRNA, tRNA가 붙어있는 상태, 즉 단백질 공장이 돌아가고 있는 상태를 결정화하는데 성공해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생각했지. 말은안했지만 꽤나 속상했을 거야. 하지만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 열의 부도
체인
공기 덕분에 발포폴리스티렌이 건물을 따뜻하게 하는 단열재로 주목받기 시작했거든. 썩지도 않고 쥐나 흰개미의 공격도 잘 막아냈으며 소리의 전달을 막는 역할까지 했어. 그동안 건축자재로 주로 쓰이던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우리나라는 아직 개인이 남긴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일을 돕는 시스템이 전무하다.환경단
체인
녹색연합은 지난 2006년 12월부터 두 달 동안 시민 10명을 대상으로 탄소발자국의 크기를 쟀다. 가정에서 사용한 전력과 난방용 가스의 양 그리고 교통수단을 종류와 이동거리를 토대로 계산한 결과 한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한 난자(2n)에 전기 또는 화학적 자극을 주어 난자의 프로그램을 교란해 난자가 수정
체인
것으로 착각하도록 유도해 배아를 만들고 이로부터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줄기세포주를 확립한 것이다.그러나 이렇게 만든 배아줄기세포가 수정란에서 유래한 정상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하더라도 세세한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감온부(感溫部)가 센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특정이다 넓은 뜻에서는 서미스터를
체인
에 장치한 계측기를 가리킨다 현재 이 장치는 미국의 함정 메리스빌호(號)에 장비되어 태평양의 광범위한 관측에 이용되고 있다달 표면에 무인탐사기(서베이어)를 연착륙(軟着陸)시켜 달 표면의 사진 촬영,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각 대학에서 큐브샛을 개발하고 있다. 총 6기의 큐브샛이 2003년과 2007년 러시아의 발사
체인
로콧과 디네플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재난감시는 우리에게 맡겨라 DMC 프로젝트영국이 소형관측위성 여러 기를 동시에 운용해 재난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도록 계획한 프로젝트다. 재난감시위성인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김효준 교수가 개발한 비만백신이다. 지방을 몸속 각 조직으로 실어 나르는 운반
체인
저밀도지질단백질이나 초저밀도지질단백질등이 조직에 지방을 축적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아포리포프로테인 B-100(apolipop -rotein B-100) 단백질의 작용을 막는 비만 치료백신이다. 그는 “앞으로 5년 안에 백신을 맞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