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d라이브러리
"
튜브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교수는 탄소나노
튜브
와 근적외선으로 종양을 없애는 실험에 성공했다. ❷ 탄소나노
튜브
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2 몸속에서 스스로 전기 만든다심장박동조절장치와 같은 의료기기를 몸에 넣은 사람은 정기적으로 커다란 불편을 겪는다. 전지의 수명이 다하면 수술로 바꿔 넣어 줘야 하는 것이다.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듀레탄이 쓰이는 부품은 프런트 엔드, 흡기다기관, 엔진 상부 덮개, 브레이크 페달, 에어
튜브
, 예비타이어 보관대 등이다. 자동차의 무게가 100kg 줄어들면 1km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3g 정도 줄어든다. 특히 전기차는 가벼워야 배터리가 오래 간다.가벼워진다는 것 외에도 고성능 플라스틱의 장점은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공 뇌 개발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다. 지난 4월에는 미국 남가주대 연구팀이 탄소나노
튜브
로 작동하는 시냅스 회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6월에는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이 쥐의 배아에서 뽑은 뇌세포를 단백질체에 이식해 12초 동안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인공 뇌를 만들었다.지난 8월 18일에는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➊ 연구원이 쉬아넬라 균을 배양하고 있다. 이렇게 배양한 쉬아넬라 균은 나노
튜브
와 나노선을 만든다.] [➋ 우라늄 6가 이온(오른쪽)이 우라늄 나노선으로 변해 침전돼 있다.]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에 도전허 교수는 석사 과정에서 토양의 독성 화학물질을 연구했다. 하지만 박사 과정에서는 ... ...
빙글빙글 돌리면, 어떤 도형 될까?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직선을 회전축으로 해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원을 회전시키면 된다. 수학에서는
튜브
나 도넛과 같은 도형을‘원환면 또는 원환체(torus)’라고 부른다. 이 밖에도 우리 주변에는 무수히 많은 회전체가 있다. 주위를 관찰해 회전체를 찾고 수학적으로 해석해 보자. 자신도 모르게‘유레카’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모세관 현상 때문에 안쪽에 수증기가 맺혀 얇은 물의 막이 생긴다.신 교수는 나노
튜브
의 입구가 약 20nm가 되면 물의 막이 서로 만나면서 입구가 밀봉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안쪽이 텅 빈 앰플 모양으로 밀봉된 물의 막이 생기는 것이다. 이때 실리콘클로라이드(SiCl4)를 주입하면 물과 결합하면서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설레어 했다.임지순 교수는 세계적인 고체이론물리학자다. 2000년 세계최소형 탄소나노
튜브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명성을 떨쳤다. NAS 회원도 됐으니 다음에 노벨상을 받지 않겠냐고 했더니 고개를 저었다(언론에서 이런 기사를 쓸 때 늘 첫손가락에 꼽는 게 임 교수다). 자신은 그 정도는 아니라면서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수퍼 커패시터’다. 수퍼 커패시터는 전지와 구조가 비슷하지만 전해질 대신 탄소나노
튜브
를 이용한다.“수퍼 커패시터는 리튬이차전지보다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속도가 10배나 빠릅니다. 충전도 몇 분 안에 급속히 이뤄집니다. 그러나 아직 용량이 리튬이차전지의 5%밖에 되지 않아요. 앞으로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생체분자인 NADP+가 NADPH로 환원돼 이동하면서 이 역할을 하지만 인공광합성에서는 나노
튜브
수송관을 통해 전자와 양성자를 따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강 교수는 “인공광합성 효율을 끌어올리려면 집적된 형태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나노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자리에 모였다.❷ 박 교수팀이 만든 나노 소재. 펩타이드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해 나노
튜브
, 나노선, 초발수성 코팅을 만들었다.]세 번째는 ‘초발수성 표면’ 개발이다. 초발수성은 물이 잘 스며들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박 교수팀은 이런 성질을 구현하기 위해 스스로 세정 효과를 내는 연잎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