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산지
생육지
뉴스
"
서식환경
"(으)로 총 65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더욱 가까워진 우주시대...100년 뒤를 상상한다
2022.08.27
달에 안착한 한국형 달 탐사선의 모습 상상도. 지난 8월 5일에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한국형 첫 달탐사선 다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지난 6월 21일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는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된 누리호가 발사돼 누리호에 실린 ... ...
페트병에 쓰이는 미세플라스틱, 홍합 번식에 ‘악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2.08.25
미세플라스틱 입자. 게티이미지뱅크 미세플라스틱 중 섬유 형태의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가 해양 수산물의 생식 기능과 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환경독성영향연구센터 연구팀이 주변에서 접하기 어렵지 않은 페트병을 만드는 재질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지방 새의 서식지, 기후보다 ‘생물종 경쟁’ 영향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아마존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화이트팁벌새의 모습을 22일 표지에 실었다. 화이트팁벌새는 넓은 열대우림 속에서도 오직 낮은 고도의 산 중턱에서만 발견된다. 화이트팁벌새의 서식지가 제한적인 이유를 두고 학계에서는 두 가지 가설이 있다. 하나는 고도 ... ...
소라 닮은 멸종위기 '나팔고둥'…"헷갈려 잡으면 안돼요"
동아사이언스
l
2022.07.21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나팔고둥. 환경부 제공 "소라가 아니고 멸종위기 나팔고둥입니다. 잡지 마세요."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면서 해양보호생물인 국가보호종 나팔고둥을 소라(뿔소라) 등 다른 식용 고둥류와 혼동해 채취, 유통하는 사례가 발생해 홍보·계도를 강화 ... ...
하늘 버리고 바닷속 택한 펭귄 6천만년 진화사
연합뉴스
l
2022.07.20
현생종 게놈·멸종 화석 분석…기후·해류 변화가 진화 동력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펭귄 하면 남극의 얼음 위에서 뒤뚱거리며 종종걸음치는 모습이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아주 오래전에는 하늘을 훨훨 날던 바닷새였다. 앨버트로스와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지만 바다오리처럼 잠수 ... ...
떼로 출몰한 러브버그, 사랑스럽진 않아도 해충은 아니야
연합뉴스
l
2022.07.06
서울 은평·서대문구, 경기 고양시 등지에 이른바 '러브 버그'라 불리는 벌레떼가 출몰해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사진은 '러브 버그' 모습. 연합뉴스 제공 최근 서울 서북권과 경기 고양시 등에 떼로 나타난 일명 '러브버그'(사랑벌레). 벌레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혐오감을 줄지언정 해충은 아니 ... ...
감전된 새들이 산불을 일으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지난해 8월 2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엘도라도 국유림에서 '칼도르'로 이름 붙은 대형 산불이 번지면서 화염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 AP/연합뉴스 2014년 칠레 중부에서 산불이 발생해 가옥 2500채가 불타고 13명이 숨지는 참사가 벌어졌다. 1년 뒤 참사 현장에서 북쪽으로 9700km 떨어진 아이다호 ... ...
기린 긴 목은 치열한 짝짓기 싸움용 무기의 진화 결과
연합뉴스
l
2022.06.03
기린과 동물 화석서 박치기 적응한 두개골·목뼈 확인 [WANG Yu and GUO Xiaocon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지상에서 가장 키가 큰 동물인 기린은 높은 나뭇가지의 잎을 따먹기 위해 목이 길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목적 외에 암컷을 놓고 벌이는 수컷 간의 치열한 싸움에서 이 ... ...
시베리아 툰드라 아예 사라질 위기…'최선' 다해도 30%만 남아
연합뉴스
l
2022.05.30
타이미르 지역의 순록. 연합뉴스 제공 기후변화로 수목한계선이 급속히 북상하면서 시베리아의 방대한 툰드라가 2500년께는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추진 중인 야심 찬 온실가스 저감 노력이 최대한 이행된다고 해도 약 30% 정도만 살아남을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알프 ... ...
인터넷서 거래되는 전세계 야생거미 1200종…대부분 규제 없어 개체 감소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2.05.30
국내외 애완용 거미 시장이 커지며 20년간 온라인으로 거래된 거미, 전갈등 거미류가 1200여 종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거미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거래규제 방침도 부실해 야생 거미가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복슬복슬한 털이 몸을 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