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무제
분무기
로졸
에어
aerosol
뉴스
"
에어로졸
"(으)로 총 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2번일 땐 35.4%, 3번일 땐 65.9%로 늘어났습니다. 연구팀은 노로 바이러스가 공기 속에서
에어로졸
형태로도 전염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Q. 배탈은 여름에 많이 나는 거 아닌가요? 왜 노로바이러스는 겨울에 난리인가요? A. 노로 바이러스는 버틸 수 있는 온도 범위가 넓기 때문입니다. 0℃에서 ... ...
中, 초미세먼지 분석 가능한 첨단 방사광가속기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17.01.16
상태의 입자를 모두 분해해 버릴 정도로 에너지가 너무 높다”며 “스모그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같은 대기 중 입자와 화학물질을 관측하려면 이보다 에너지가 낮은 연질의 자유전자레이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각한 초미세먼지 문제를 겪고 있는 중국이 대기오염물질 관측을 위해 일부러 더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04
. 이 물 기둥이 작은 방울들로 흩어지면서
에어로졸
이 만들어진다(➐). 땅 속의 성분들이
에어로졸
에 실려 공기 중으로 확산되고 있다(➑). - 정영수 제공 ● 여름 냄새를 지배하는 자, 박테리아 지금까지 여름 냄새의 원인을 보면 크게 비와 박테리아, 두 가지다. 박테리아가 내뿜는 화학물질이 냄새를 ... ...
구름 탄생의 비밀…산업혁명 이전엔 구름이 더 많았을 수 있다
2016.05.29
끊어내자 나노미터 수준의
에어로졸
입자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바이안치 연구원은 “
에어로졸
과 같은 입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구름 생성과 같은 기후뿐만 아니라 지구의 에너지 균형을 맞추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보다 산업화 이전 시대에 구름이 더 많았을 ... ...
[단독] 한반도 미세먼지 측정하는 美 연구용 비행기, 본보 최초 탑승 동행기
2016.05.09
통해 기체 밖에서 빨아들인 공기를 이온크로마토그래피 기법으로 분석해 0.5초에 한 번씩
에어로졸
과 수용성 산의 대기 중 농도를 측정한다. 이 장비를 이용해 얻은 데이터를 잭 딥 미국 햄프셔 지구해양우주연구소 교수가 기록하고 있다(아래).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연구진은 비행기 안에서 ... ...
[사이언스 브리핑] 미래부, 뇌신경모방칩 연구 시작 外
2016.03.23
AST)’의 편집장(Editor)으로 선임됐다. 미국
에어로졸
연구회에서 발간하는 ‘
에어로졸
과학기술’은 기계공학 관련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등재 저널 중 상위 5% 이내의 저명한 학술지다. 박교수는 5월부터 유일한 한국인 편집장으로서 논문을 심사하고 게재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임기는 4년이다 ... ...
대학 안전의식 심각… 안전사고 10건 중 9건이 대학
2015.11.09
실험실의 경우 가장 많이 적발된 사례는 폐기물 처리 방식이다. 폐기물에 섞인 미생물이
에어로졸
을 타고 올라와 공기 중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뚜껑을 닫아 둬야 하지만 실험실에서 폐기물 처리 용기 뚜껑을 열어 놓은 경우가 많았다. 실험실에서 음식을 섭취하는 사례도 여럿 적발됐다. ... ...
수도권 12개 大 연구원 인터뷰 “건국대 사태, 남 얘기 아니다”
2015.11.09
쓰는 실험실도 본 적 있다”고 말했다. 이화여대 한 대학원생은 “바이러스를
에어로졸
형태로 실험할 때 착용하는 보호 장비가 있는데 너무 고가여서 한정된 연구비로는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실험실도 있다”며 “이런 경우에는 결국 마스크와 방호복만 착용하고 실험할 수밖에 없다”고 ... ...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공기 타고 감염?
2015.08.20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가 기존 구토물이나 분변 외에도 ‘연무질(
에어로졸
)’ 형태로 감염이 이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무질이란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의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방울로 장시간 공기 중에 머무를 수 있다. 6월 한국을 ... ...
‘메르스 낙관’ 모두 빗나갔다
동아일보
l
2015.06.16
환자와 ‘2m 이내 밀접 접촉’이 없었는데도 감염됐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연무질(
에어로졸
) 형태로도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보건당국이 최대 14일이라고 예상했던 잠복기도 실제로는 더 길다는 지적이 많다. 메르스 확진자 150명 중 146번 환자와 149번 환자의 경우 16∼18일 만에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