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뉴스
"
육지
"(으)로 총 41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동해가 일본 쪽과의 경계인 동쪽 경계면에서도 똑같이
육지
지각 아래로 밀려들어가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돼 있어, 최후에 동해 지각이 한반도 동부와 일본 서부 중 어느 곳으로 밀려들어가 사라질지는 아직 모른다. 마치 줄다리기를 하듯 양쪽에서 동해 해저지형을 ... ...
"산불 예방·복구 힘 모으자" 과학기술계 긴급 논의(종합)
연합뉴스
l
2019.04.10
3호가 강원도 산불 지역을 촬영한 사진. 고성과 속초를 근적외 합성한 영상 캡처본으로,
육지
에서 검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화재로 소실된 산림 지역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기상청 데이터 신속 전송,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실시간 확산 모델 구축, 무인기를 활용한 산불 조기 감지 ... ...
우리 앞바다 ‘미세플라스틱 역습’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양이 연간 53 t으로 개체수로는 약 1조2000억 개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한반도
육지
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제한적이지만 구체적으로 분석된 것은 처음이다. 국내에서는 인구가 많은 남동해안 주변이 인구가 적은 동해안이나 서해안 지역보다 플라스틱 쓰레기 양이 2배 정도 ... ...
낙동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 연간 53t…해양유입양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전망이다. 심원준 소장은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다 보니 최근 들어
육지
에서의 플라스틱 배출 현황 연구도 활성화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을 밝혔다. 버려지는 플라스틱이 생명체와 환경에만 유해한 게 아니라 ... ...
'제주대 약학대' 신설 가시화…제주 사회 기대감↑
2019.03.20
강조했다. [제주대학교 제공] 약사 강모(55)씨는 "제주 학생들이 약학대학을 가기 위해
육지
로 나가면 매년 학비와 생활비 등 수 천만원이 지출된다"며 "제주에 약학대학이 설립돼 약사를 꿈꾸는 제주 학생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약학계 일각에서는 약대 신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딸기인 F. viridis와 만나 6배체 자손인 사향딸기(F. moschata)가 나왔다. 6배체 딸기는 당시는
육지
로 연결된 베링해를 건너 북미에 자생하는 숲딸기를 만났고 여기서 8배체 딸기가 나왔다. 이게 100만 년도 더 된 시절의 일이다. 숲딸기는 유라시아와 북미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는데, 지역에 따라 특성이 꽤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적게 써서 물은 생물들에게 안전한 서식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숨쉬기는 쉽지 않다.
육지
와 물의 가장 큰 물리적 특성은 '산소가 얼마나 있느냐?' 이다. 한겨울 차가운 물에서 겨울을 나고 있는 물속 곤충은 어떻게 살 수 있을까? 점등그물강도래 애벌레 바수염날도래 애벌레 ‘겨울 계곡의 찬 ... ...
[Science토크]동남권 해상 단층은 ‘깜깜이’, 중급 지진 나도 속수무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2016년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공기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단층은
육지
에서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닐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추론을 누구나 할 수 있다”며 “양산단층 북쪽 끝자락의 경우 포항 위쪽에서 끝난다는 예측과 3개의 분절 단층이 존재하며 일부는 바다쪽으로 ...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일부 진행중이지만, 면역치료제는 아직 활발하지 못하다는 게 생명연의 진단이다.
육지
를 넘어 바다까지 진출한 플라스틱 폐기물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미생물에 의해 빠른 속도로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이 시급해진 이유다. -사진 제공 블루픽셀이미징 ● 플라스틱 오염 해결할 ...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버리면 야생동물도 위험에 빠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19
2015년 유럽인이 외래종인 고양이와 붉은 여우를 호주에 데려온 1788년 이후 바다와
육지
에 사는 모든 포유류가 어떻게 되었는지 추적했습니다. 그 결과 ‘불독쥐’와 ‘로드하우긴귀박쥐’ 같은 토착 육상 포유류 273종 중 28종이 멸종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호주가 외래종에 취약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