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승
평방
두제곱
이방승
이승
뉴스
"
제곱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5일만에 설치 해체 가능한 KAIST 이동형 음압병동 가보니
2021.01.07
농구장 크기의 병동 내부로 들어가자 좌측에 10m 정도의 복도가 펼쳐졌다. 복도에는 15
제곱
미터의 병실 4개가 각각 연결돼 있었다. 복도와 병실 사이 전실이라 불리는 방이 하나 더 있었는데, 전실 벽면에는 음압장치 안내 화면이 붙어있었다. 전실에는 -6.7 파스칼(Pa), 병실에는 -8.3Pa 수준의 음압이 ... ...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가라앉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1
조사됐다. 아주 높은 침하 가능성을 가진 지역은 전 세계 토지의 1.6%에 해당하는 220만
제곱
킬로미터로 중국 베이징과 상아이, 산둥과 인도 델리 등 아시아 지역에 쏠려 있다. 해당 지역에는 약 6억 3500만명이 거주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이들 지역은 인구 밀도가 급속도로 높아지고 경제 ... ...
"변수 많은 코로나19, 수리모델로 예측하기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2
줄이는 방식을 제안했다. 기하평균은 여러 개의 수를 연속으로 곱해 그 개수의 거듭
제곱
근으로 나눈 수다. 인구성장률이나 경제성장률 등 변동이 큰 성장률의 평균을 구할 때 적용된다. 라오 소장은 최근의 감염 확진 사례의 변동률을 따져 먼 미래보다는 가까운 미래를 예측해야 한다고 말했다. ... ...
2020년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해' 2위 자리 굳힐까
2020.12.15
미국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에 따르면 올해 북극을 덮고 있던 얼음 면적은 528만
제곱
킬로미터(㎢)로 역대 관측 이래 최저치를 찍었다. 11월에 들어서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11월 북극 얼음 면적은 890만㎢로 기록됐는데 이는 역대 11월 얼음 면적이 가장 작았던 2016년 11월 857만 ㎢와 33만 ㎢ ... ...
[소재의 미래]⑶용접도 대신할 절대 안떨어지는 궁극의 접착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말했다. 최 교수팀이 개발한 중간체를 넣은 접착제는 강력한 접착력을 보인다. 3
제곱
미터 크기의 철과 알루미늄에 쓰였을 때 2~3g 접착제만으로 700kg의 접착력을 보인다. 700kg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철과 알루미늄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최 교수는 “이 정도 접착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태양과 비슷하고 별의 밝기는 태양의 110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표면적은 지름의
제곱
에 비례하므로). 예상대로 주계열성을 지나 꽤 부풀어 오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추가 관측 결과 병합된 별 주변에는 여전히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원반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행성이 태어날 수도 ... ...
[팩트체크]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한반도 언제 도달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23
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10년간 농도 변화를 컴퓨터로 살펴봤다. 그 결과 2년 뒤에는 1세
제곱
미터(m3)에 10Bq로 떨어졌다가 4~7년 뒤에는 1~2Bq 수준으로 서서히 줄어들었다. 5~6년 뒤에는 세슘137이 해류를 따라 북미 연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 소장은 “논문에 나오는 세슘137의 농도는 ... ...
후쿠시마 오염 방출 분석 논문 보니 1~10년내 영향…전문가들 "방류영향 예측 어렵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방사능 오염수가 1년 내로 한국 해역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은 세
제곱
미터당 0.01Bq 정도로 추정됐다. 방사능 오염수는 6년이 지나면 태평양 전체로 퍼지고 10년 후에는 한국 해안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일본의 해양 방류에 따른 영향을 실제로 정확히 예측하기는 ... ...
유연하게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20% 벽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개발한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20.7% 효율을 달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20
제곱
센티미터(㎠)의 대면적에서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서 책임연구원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향후 자동차,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 ...
땀으로 전기 만드는 연료전지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연구팀이 스포츠 의류 소재를 기반으로 만든 연료전지는
제곱
센티미터당 16.7마이크로와트(μW/cm2)의 에너지 밀도를 유지했다. 이는 빠르게 걸으면서 땀을 흘렸을 때 LCD 전자시계를 구동할 수 있는 수준이다. 나뭇잎이 약간 움직일 정도의 실바람이 불면 전기에너지 발생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