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사고
사변
사태
업무
일거리
비상상태
스페셜
"
사건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걸려 있다”며 “쌍성 펄서 발견은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역사에서도 특히 의미 있는
사건
이었다”라고 말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외계생명체가 쏜 전파를 포착하는 외계 지적생명체 탐색(SETI)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1974년 지구에서 2만 5000광년 떨어진 허큘리스 대성단을 향해 지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DNA메틸화를 분석해 나이를 추정한 결과 실제 나이와 오차는 평균 3.6년에 불과했다. 살인
사건
현장에서 채취한 DNA에서 분석한 호바스 시계가 55세로 나온다면 범인은 50대일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호바스 시계는 사람뿐 아니라 다른 포유류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어 노화의 진화를 이해하는데도 ... ...
[인간 행동의 진화] 소심함의 진화
2020.12.27
못하거나 사람들이 자신을 피할까 봐 걱정한다. 매일매일 누군가 경험하는 ‘일상’
사건
이다. 과도한 불안은 ‘좀처럼 있을 법하지 않은 일’에 관한 불안이지만, 분명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에 관한 불안은 아니다. 타고나는 걸까 학습하는 걸까 범불안장애는 10대 후반이나 20대 ... ...
대통령상 취소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상금 반납 거부...과기부 “민사소송 계획”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조작
사건
관련 특경가법상 사기혐의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첫 공판이 열린 2006년 6월 서울지법 대법정에서 당시 모습. 동아일보 DB 논문 조작이 드러나 2004년 받은 대통령상의 상금 3억원을 반납하라는 요구를 거부한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 백신, mRNA 의약품 시대를 열다
2020.12.23
백신의 접종이 시작됐다. 코로나라는 긴 터널도 이제 절반을 넘어섰음을 상징하는
사건
아닐까. 물론 이보다 앞서 지난 8일 영국에서 최초로 코로나19 백신 접종(화이자)이 시작됐으므로 동지와 연관 짓는 건 억지다. 다만 기술적으로 모더나의 백신이 한 수 위라서 필자의 사심이 들어갔다. 아무튼 ... ...
[인간 행동의 진화]개는 어떻게 인간의 친구가 되었나
2020.12.20
양육이라는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다. 부유한 집에서 사랑받는 애견이었지만, 뜻밖의
사건
으로 알래스카에서 고된 싸움을 시작한다. 점점 더 문명을 떠나 원시의 환경으로 향하고, 인간과의 싸움, 개와의 싸움, 늑대와의 싸움을 통해서 완전히 야성의 세계로 들어선다. 늑대 무리의 우두머리가 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정부의 과학기술계 비정규직 해결의 모순
2020.12.17
현실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강행될 경우 나타날 미래의 위협을 상징하는
사건
이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1020&replyAll=&reply_sc_order_by=C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 ...
새 감염 추적 전략이 필요하다…1,2차 유행 역학조사 역량 개선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위생및열대의학대학원 교수는 “뿌리를 찾아내는 접촉 추적은 코로나19가 초대형 확산
사건
에서 전염되는 경향이 큰 만큼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홍콩대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사례 중 19%가 전체 감염의 80%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자 중 69%는 누구에게도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았다. ... ...
해양 온난화가 맹독조류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나타났다. 실제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일부 지역은 독성에 대한 우려로 2015년 폭염
사건
이후 매년 조개 수확을 금지하고 있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수도니치아의 생존과 분포를 위한 새로운 퇴적층을 만들어 개체 수를 증가시켰다”며 “2015년 폭염이 인간의 영향 때문에 발생했을 확률이 ... ...
"갈수록 쌓이는 생활쓰레기 난제...과학기술서 해법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재구축’, ‘연구개발(R&D) 수행 능력 확보’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방위산업 비리
사건
에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에서 방위산업 업체의 혁신을 방해하고 있으며 오히려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방산 비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하태정 위원은 “방위산업에 대한 엄격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