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사나이 유리 로마넨코 나의 우주생활 326일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없었어요. 그러나 기술의 진보는 하루하루 달라졌으니 여러 나라가 협력하면 이 계획은
반
드시 실현된다고 봅니다"로마넨코는 자신이 있는 모습으로 이렇게 말했다. 그 실현을 향하여 지금 소련은 우주체재 3백65일의 기록에 도전하고 있다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군함의 구조와 설계 등에 관한 것이 있었는데 이를 극비에 붙였기 때문이었다.금세기 전
반
기에 대학에서 조선공학을 배운 한국인은 단 한명뿐이다. 그분은 안중근의사의 생질인 안진생(安珍生)씨이다. 그는 중국에서 망명 생활중 이탈리아의 제노아대학에 유학하여 조선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 ...
전자·컴퓨터 지식산업이 세계 지배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일본은 주력업종의 하나인 전자분야에서 80년대 평균 50%씩이나 액수를 매년 증가시켰다.
반
면 미국은 20%, 유럽각국은 평균 10%정도.일본이 오늘날 가장 외환보유고가 많은 나라이고 첨단산업에서 우위를 접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알만하다.최근 프랑스의 피가로신문사에서 간행하는 피가로잡지는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증식한 것이다. 심한 경우 코로 호흡을 할 수가 없고 코가 잘 막히므로 입을 바보처럼
반
쯤 벌리고 다니게 되며 청력에 장애를 주는 등 여러가지 합병증을 초래할 수도 있는 병으로 5~10세 사이에서 가장 문제가 된다.이때도 만성 편도선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환자의증상, 합병증 유무, 진찰소견에 ... ...
한쪽으로 늘어진 위성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그 어두운 물질은 무엇인가? 그것은 어디에서 왔는가? 또 그것은 왜 단지 그 표면의 절
반
에 집중되었는가?지금으로부터 일년 뒤, 보이저 2호는 네레이드의 3백만마일 이내를 통과할 것이다. 이 세계는 또 다른 두 가지 색조를 띤 위성으로 판명될지도 모르고 아마 그것은 우리에게 이것이 어떻게 그런 ... ...
행성군(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즉 적어도 항성들 가운데
반
또는 그 이상이 분명히 항성으로는 볼 수 없는 어떤 종류의
반
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목성 유형의 행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목성같은 행성이 있다면 항성을 도는 다른 행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 행성은 너무 작고 가벼워 항성에게 감지될 만한 진동의 영향을 ... ...
타자기에서 컴퓨터로 워드프로세싱은 PC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일단 워드프로세싱을 목적으로 PC를 구입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이 기능을 충분히 익히면 PC의 다른 기능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에프타입 키손'의 비유대로 컴 ... 널리 퍼지고 있는 것을 본다. 이것은 컴퓨터의 문화가 성숙해 가고 있다는 현 시류를 잘
반
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 ...
불을 사용하면서 이빨크기 계속 작아져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환경변화에 따라 인체가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가 하는 흥미있는 자료가 발표되었다. 미국 미시간대학의 인류학자들은 선사시대 인류의 화석에서부터 현대인에 ... 또 현대인의 이빨은 10만년전 마지막 빙하기 시대에 살던 사람들의 이빨에 비해
반
정도 크기밖에 안된다고 이들은 밝혔다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가는 것이 측정되었다. 단거리의 경우 달 작은 돌고래가 같은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반
면 가장 느린 바다포유동물은 바다 수달피로 최고 시속이 9.6㎞. 하지만 같은 포유류인 사람보다는 훨씬 빠른 기록이다.수영을 잘 하는 새도 많다. 그중 가장 빠른 새는 전투 펭귄. 이 새의 최고수영속도가 시속 27.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있다." 우리는 더 많이 가르쳐야만 한다"고 그는 말한다. 머지 않아, 그라쳬프의 의욕은
반
드시 실현될 것이다. 물론 벅찬 일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이는 겨울의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새로운 팀의 활력을 북돋우는 역할을 할 것이다.다른 많은 시베리아 개척자들처럼 그라쳬프의 모험은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