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진짜 검다' 첫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현상이 밝혀졌다. 블랙홀 중심으로 빨려드는 뜨거운 가스 덩어리로부터 나오는 자외
선
이 중심으로 빨려들수록 갑작스럽게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미국 나사의 고다드우주센터의 조셉 돌란 박사는 이에 대해“이론적으로 예측되던 바로 그것”이라고 강조했다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도체의 저항이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만약 구리 전
선
대신 초전도
선
으로 대체되면 전
선
은 20배 이상 가늘어질 수 있다.과학자들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어떤 새로운 물질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을 띠게 되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만약 상온에서 가능한 초전도체가 ... ...
왜 내 차
선
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빠르다고 느낀다고 조급해서 옆 차
선
으로 옮길 필요가 없다. 오히려 갑작스런 무리한 차
선
변경은 교통 체증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운전자가 이런 교통 흐름의 성질을 앎으로써 조금이나마 체증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하나이므로 그 수를 정확히 관찰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흑점수를 세기 위해서는 우
선
흑점군을 결정해야 한다. 보통 몇개의 흑점이 모여 하나의 흑점군을 형성한다. 흑점군 하나는 독립된 흑점에 비해 열배 가량 더 활동적이다. 따라서 흑점수는 확인된 흑점군에 10을 곱하고 다시 개개의 흑점을 ... ...
의료모의시술과 화상전화 시대 앞당긴다 영상시스템연구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3차원 의료영상분할과 의료영상의 시각화 분야를 집중연구하고 있다. 의료영상분할은 X
선
같이 신체의 구조를 알아내는데 사용되는 CT나 MRI에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장기의 영상만 추출해내는 연구분야다. 이 분야의 연구를 통해 모의 시술이 이뤄질 장기에 대한 모습을 만들어낼 수 있다 ... ...
3. 왜 포스트PC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시대에 대한 과대포장에 속지 말라”고 지적한다.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한 웹 TV가
선
보이고 있지만, 인터넷을 제대로 활용한다는 느낌이 들려면 역시 PC를 사용하는 것이 최고”라면서 형태가 달라지고, 새로운 특성의 제품이 나온다고 해도 지금까지 견고하게 구축해온 PC를 대체하지는 못할 ... ...
정상인 능가하는 감동의 스포츠드라마 파랄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육상 트랙경기는 7개 등급에서 4개 등급으로 축소해 실시한다.'장애인
선
수'와 '장애있는
선
수' 차이현재 외국에서는 장애인(the handicapped, the disabled 등)이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 이보다는 어떤 장애가 있는 사람(사람 with 정신지체, 예를 들어 indivisuable width ment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레아,이아페투스등 4개의 위성을 더 볼 수 있다.목성의 위성들이 목성 주위를 좌우로 일직
선
으로 움직이는데 비해 토성의 위성들은 원형의 궤도가 고리와 같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타우너형으로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그래서 종종 토성의 북쪽이나 고리 아래에 떨어져 있어 별과 혼동하기 쉬운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수준을 보여준다.어느 정도 측량 기술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주어진 정사각형의 대각
선
이,면적이 두배인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와 같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으므로 현실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
꿈의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F램 기술
선
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세계 최초로 성공해냈다.이후 벨 통신 연구원에서 또다른 신뢰성 문제인 ‘비대칭성’을
선
구적으로 연구했다. 비대칭성 문제는 메모리에 0과 1이 쓰여질 확률이 50%인 것이 정상인데, 어는 한쪽의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이교수의 최근 최대 연구업적은 작년 10월 신문 1면을 장식했던 F램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