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이 세슘은 그곳에서 자라는 식물로, 식물을 먹는 동물로 이동할 거야.실제로 후쿠시마
지역
의 농산물을 꾸준히 먹거나, 원전 부근에 사는 사람들 중에는 몸 안에 들어온 방사성 물질 때문에 피폭을 당한 사람이 많아. 특히 어린이들의 피해가 크다고 해. 일본 정부가 2011년부터 후쿠시마 어린이들을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돌아다니는 사람이 줄어들어 유령선을 타고 있는 것 같아요. 모두들 해류가 부딪치는
지역
인 남위 60°를 어서 지나가기만을 기다린답니다.남위 60°를 지나니 얼음이 보이기 시작해요. 바다는 거짓말처럼 조용해졌네요. 얼음을 보니 이때서야 남극에 온 느낌이 들어요. 하늘에서는 온 몸이 눈처럼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무너질 수 있다. 이처럼 전력망에도 최적의 크기가 있다는 것이다.연구팀은 미국의 서부
지역
의 1만 6000개의 발전기, 변전소, 변압기 등을 점(노드)으로 보고 각각에 연결된 전력망에서 가상의 정전을 일으킨 후, 최적의 전력망 크기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점(노드)이 500~700개인 전력망이 최적의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대축척 지도라고 한다. 좁은
지역
을 자세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반면 소축척 지도는 넓은
지역
을 간단히 나타낸 지도이다. 대한민국 전도는 소축척 지도에 해당한다. Σ 진로정보측량 및 지도 전문가가 되려면?정확한 국토를 측량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일은 국민과 국가 차원의 주요한 업무임에 ... ...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없을 땐 벌꿀주 한잔벌꿀로 술을 담그면 어떤 맛일까. 바나족의 전통주인 테즈(tej)는 이
지역
의 특산물이다. 동그랗게 열린 뚜껑 사이로 고소하고 알싸한 벌꿀주 냄새가 코를 자극할 것 같다.❹ 아이언맨 슈트 부럽지 않은 나무 갑옷카메론 아다마와 고원에 사는 원주민도 바나족처럼 나무 위에서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사이의 인과관계를 드러내기엔 아직 역부족이었다. 이곳 주민의 방사선 피폭량이 대조
지역
주민과 별 차이가 없는 데다, 원전 주변에 오래 살았다고 해서 딱히 갑상샘암 발병률이 증가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여러 반박 속에 연구결과는 잊혀졌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왜 이곳 주민들은 ... ...
침팬지에게도 ‘침대는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이
지역
에서 9.6%를 차지하는 흔치 않은 나무다. 재미있는 사실은 우간다강철나무가 이
지역
에 서식하는 나무 가운데 가장 단단하고 탄력성이 좋다는 사실이다. 침대 스프링 같은 특징이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침팬지도 푹 잠들기 위해 안락한 침대를 만든다”며 “유인원도 사람처럼 잠자리를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말했듯 독극물인 비소는 많은 나라에서 식수를 오염시키는 골칫거리다. 동남아시아
지역
의 지하수에도 비소가 많았는데, 모래 필터로는 걸러낼 수가 없다.독고 교수가 처음 비소 문제를 고민한 것은 2000년이었다. “일본에 있을 때였어요. 방글라데시에 비소 문제를 해결할 멤브레인(막)을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효과와 (블랙카본을 제외한) 에어로졸이 일으키는 냉각 효과가 붙으면 누가 이길까.
지역
에 따라 에어로졸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하지만 전 지구적으로 평균을 내면 냉각효과가 2배 이상 크다. 정철 GIST 환경공학과 교수는 “특히 동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초미세먼지가 ... ...
북극에 피는 꽃은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1관(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북극생태사진전’을 연다. 북위 70도 인근 환북극
지역
에서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직접 찍은 100여 장의 사진을 전시한다. 이들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은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에 참여했다. 김예동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