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있는 2차원 곡선은 붓이 두 번 지난 점, 즉 특이점을 하나 가지고 있다. 이 곡선의 한 쪽 끝을 잡고 위로 조금씩 올려나간다고 상상해 보자. 그러면 더 이상 특이점이 없는 부드러운 3차원 곡선이 만들어진다.밑에 있는 2차원 세계는 우리가 사는 세계를 상징하는데, 여기에 있는 곡선에는 모순과 문제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02년에 제기한 뒤, 대수학 분야의 최대 난제로 남아 있던 문제다. 젤마노프 교수는 무려 100쪽에 이르는 증명 끝에 이 문제를 풀어내 결국 1994년 필즈상을 차지했다.“번사이드 문제는 군론에서 다루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군론은 대수학 분야로, 수학뿐만 아니라 과학계 여러 연구의 기초이자 토대가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시추 드릴 파이프가 있다. 긴 쇠파이프의 위쪽 끝에는 회전장치가 연결돼 있다. 아래쪽에 ‘드릴 비트’가 달린 쇠파이프 전체가 빙글빙글 돌아가면서 해저지각에 구멍을 뚫는다. 이 때 작업자들이 달려들어 지름 12.5cm, 길이 30m인 쇠파이프를 계속 조립하면서 내려보낸다. 두성호의 드릴은 파이프를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읽었노라고 떠들고 다니는 식이었다. 술담배를 일찍 시작한다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쪽으로 이어지지 않았던 점은 다행이었다. 당시에는 중2병이라는 용어가 없었다. 보통 사춘기라 ‘겉멋이 들었다’는 정도로 이야기하곤 했다.만약 이때 했던 온갖 생각을 일기에 적어 남겨 놓았다가(그때는 ... ...
-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물리적인 현상을 컴퓨터로 계산하고 해석하는 일입니다. 원자로 내에서는 핵연료들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배열이 돼야 골고루 반응이 일어나고 출력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열을 설계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데, 이는 핵연료의 평탄한 배치를 위한 계산도구이자 ... ...
- 2013 뉴칼레도니아 생태탐사 수습대원은 바로 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수 있어요.뉴칼레도니아는?뉴칼레도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동쪽 1500㎞, 뉴질랜드 북동쪽으로 1700㎞ 떨어진 곳에 위치한 우리나라 강원도 정도 크기의 섬이에요. 바게트 빵처럼 긴 모양이랍니다. 약 3억 년전 지구 남반구에 있었던 거대한 ‘곤드와나 대륙’에서 떨어져 나와 5600만~8000만 년 정도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다른 재료가 갖지 못하는 독특한 특성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자기 복구 능력이다(37쪽 박스 참조). 균사체 덕분에 버섯® 재료는 금이 가거나 부서져도 스스로 다시 달라붙는다.이제까지 베이어와 매킨타이어는 이 재료를 제품의 포장 용기나, 무거운 가전제품과 가구를 나를 때 쓰는 완충제로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흘러나온 치명적인 오염수는 우리 바다로 오는 대신 쿠로시오 해류에 실려 동쪽(태평양)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다.그런데 바닷물이 돌다보면 결국 우리나라까지 오게 되지 않을까. 후쿠시마 부근의 오염 물질이 해류를 따라 태평양을 한 바퀴 돈 뒤 쓰시마해류를 타고 우리 영해로 돌아오려면 짧게 수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떨어져 있었고, 대서양이 아직 충분히 생기지 않은 탓에 유럽과도 거의 연결돼 있었다(왼쪽 가운데 지도). 플레시아다피스는 곧 유럽에도 진출해 번성했다. 반면 아시아는 유럽과 아랄해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영장류가 많지 않았다. 학자들은 5500만 년 전부터는 아시아에서 영장류가 ...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이번 공동 연구 성과를 저명 학술지에 발표하는 것이 1차 목표”라고 말했다. 어느 한쪽에 의지하는 것 없이 각자가 자긍심을 갖고 전문 분야에서 서로를 돕고 동시에 경쟁하며 나아가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칼텍과 공동연구를 하면서 GIST가 얻는 것은 무엇일까? 임 교수는 “칼텍의 최고급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