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1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 북극성 '용자리 알파' 짝별과 일식 새로 밝혀져
연합뉴스
l
2020.01.08
가리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용자리 알파는 태양의 4.3배에 달하며
표면
온도는 9천700도로 태양보다 70% 더 뜨겁다. 짝별은 크기가 용자리 알파의 절반에 불과하며 밝기는 5분의 1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온도는 태양보다 40% 가량 더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용자리 알파는 ... ...
ESS 화재 위험 줄인 새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포획하는 기능을 추가한 새로운 전지를 개발했다. 질소가 들어간 미세기공 구조를 전극
표면
에 도입해 극성을 띄지 않는 브롬을 극성 폴리브롬화물로 바꾸고 부착시키는 기술이다. 브롬을 빼낼 필요 없이 전극 내부에 저장하면서 전지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막는다. 연구팀은 “리튬이온전지보다 ... ...
모터쇼를 넘어선 CES…자동차만 있으면 밋밋하다
연합뉴스
l
2020.01.08
같은 모습에 실내가 훤히 보이게 투명한 외관, 뒷면에 파충류 비늘을 연상시키는 33개의
표면
요소 등이 아바타에서 다양한 생물체가 하나로 어우러진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센터 콘솔에 손을 올리면 차량이 생기를 받은 듯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배터리를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서 ... ...
6각으로 각잡힌 얼음, 만들어질땐 '삐뚤빼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덮이면 작동하지 않는 풍력 터빈의 경우 얼음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물과
표면
간 상호작용을 이해한다면 얼음 제거가 더 쉬워진다”고 설명했다. 프란시스코 교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생성 방식과 전혀 다른 생성 방식”이라며 “2차원 얼음의 검증을 마쳤으니 3차원 얼음에 관한 ... ...
인도 새해 ‘달 착륙’ 재도전 공식화…11월경 찬드라얀3호 발사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미션이 처음이었다. ISRO는 찬드라얀 3호 미션을 위해 새롭게 추진 모듈과 착륙선, 달
표면
을 탐사할 로버를 개발하는 데 약 3500만달러(약 400억원)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발사 자체 비용도 찬드라얀 2호에 비해 높아진다. 이와 함께 시반 ISRO 회장은 2022년 중반을 목표로 진행중인 첫 유인 ... ...
우주로,우주로… 2020년 그동안 보지 못했던 우주개척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시도한다. 오시리스 렉스는 지난해 12월 베누에 도착한 후 소행성 상공을 돌며
표면
을 촬영하고 지도를 만들며 착륙지를 물색해왔다. 오시리스 렉스는 베누에 약 5초간 내려앉으며 질소를 쏘고 이로 인해 튀어 오르는 먼지와 자갈을 채집할 예정이다. 오시리스 렉스의 선배 격인 일본의 소행성 ... ...
[전망2020] 과학동아가 뽑은 2020년 기대되는 과학 성과
과학동아
l
2019.12.30
회수선에 이를 실어 보내는 임무를 처음으로 시도합니다. 엑소마스 2020은 최초로 화성
표면
에서 2m 깊이까지 땅을 시추해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전기·전자┃차세대 AI 반도체 확대 게티이미지뱅크 자율주행차, 스마트홈 등 더욱 완벽한 사물인터넷(IoT) 세상을 구현하기 ... ...
자외선까지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변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의 두께를 조절해 소자
표면
에서의 반사를 최소화해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했다. 장 교수는 “고효율 유연 태양전지는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와 전기자동차, 드론 등 여러 분야에서 쓸 수 있다”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응용 연구는 ... ...
버려지던 목재폐기물 '리그닌' 고부가가치 물질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소금을 넣어주면 리그닌의 응집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 소금이 리그닌 분자
표면
에 달라붙으며 리그닌 분자끼리 뭉치려는 힘을 막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해 각종 석유화학공정에서 액상에 포함된 독성물질을 흡착해 제거하는 ‘활성탄’의 강도를 높이는데 성공했다. ... ...
올해를 빛낸 기초연구자에 박선영 경북대 교수·정명화 서강대 교수 등 10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표면
에 정전기를 일으켜 전기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고 교수는 울퉁불퉁한
표면
에 전자소자를 붙이는 기술을 선보였다. 장 교수는 다양한 색상을 내는 태양전지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여기에 기초연구 진흥 및 우수성과를 낼 수 있도록 기초연구 정책을 수립하고 자문하는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