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03
영역을 구분 지으려고 하는 막의 정체는 무엇이며, 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세포(
그림
1)는 아주 작은 방과 같은 단위체로 그 안에는 농축된 수용액과 화학물질이 채워져 있다. 생물의 기능과 활동은 세포의 일상 활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아메바나 짚신벌레와 같이 자유롭게 유영하는 ...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03
즉 개체보다 집단의 특성이 오히려 더 유용하다.그런데 공의 수가 아보가드로 수(
그림
1)인 6x${10}^{23}$에 이르면 개체에 대한 설명은 아예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집단의 특성에 만족할 수밖에 없다. 개체의 정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자세한 정보를 모아서 활용할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03
수 있다는 얘기가 돼 모순이 되므로 화살은 정지해 있어야만 된다.4.경기장의 패러독스
그림
과 같이 경기장에 세 열이 있다. A열은 멈춰있고 B와 C열은 같은 속 도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A, B, C 세열이 정렬됐다. 이때 B열의 구성원들은, A열의 성원은 한명씩 C열의 성원은 두명씩 통과하게 된다. B와 ... ...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03
남한 교과서와 유사한 점이 많다. 많이 다를 것이라고 기대하고 펼쳐보면 의외로 비슷한
그림
과 비슷한 문제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소함이 느껴지는 것은 교과서를 기술하는 언어가 우리가 구사하는 언어와 상당 부분 다르기 때문이다. TV에 북한사람이 나와서 이야기하면 왠지 어색한 느낌을 ... ...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과학동아
l
199902
시작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7월에 발견됐다. 감염된 후 3개월이 지나면 화면에 이상한
그림
을 출력해 컴퓨터를 제대로 쓸 수 없게 방해한다. 감염될 때마다 다른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실행파일(EXE), 스크린세이버나 스크립트 파일(SCR)에 주로 감염되며 윈도95/9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02
완벽한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성운설(星雲設)이다(
그림
1).성운설에 따르면 지금부터 약 45-50억년 전 원시 태양계 성운의 중심부에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거대한 구름이 수축을 계속하고, 이때 회전이 빨라지면서 구름은 원반과 같은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02
닿으면 순간적으로 분자들끼리 결합해(중합반응) 고분자로 되면서 굳는 성질이 있다(
그림
2).공기 중에는 어느 정도의 수분이 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물질을 순간 접착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또 더 강하게 붙는 이유는 다른 접착제에 비해 굳으면 더 단단한 수지로 변하기 때문이다. 또 ... ...
1965년 노벨화학상 우드워드
과학동아
l
199902
점을 보면 이 합성이 얼마나 핵심적이고 중요한 공로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우드워드는 (
그림
1)과 같이 아이소퀴놀린으로부터의 몇가지 경로를 거쳐 키니네를 합성하는 경로를 택했다. 특히 우드워드는 이미 12세때 키니네의 합성을 계획했었다고 한다.천연물 합성의 길이후 우드워드는 파툴린과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02
꽂는다. 한편 다른 방음된 방에 있는 송신자는 텔레비전 앞에 앉아서 임의로 선택된
그림
을 보면서 그 영상을 수신자에게 전달하려고 노력한다. 수신자가 자신이 느낀 것을 보고하면 제3자가 기록한 뒤에 결과를 평가한다.1973년 간츠펠트 실험이 처음으로 ESP연구에 도입된 후로 세계 도처에서 50여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01
높다. 또한 환경문제를 전혀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기술이다. 연료전지는 (
그림
2)에서 보는 것처럼 통로가 직각으로 교차하는 접촉면에 전극판 물질을 만들어 수소와 산소를 통과시키면 이들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전기가 발생되는 원리를 채용한 것이다.이 장치는 1839년 영국의 그로브(W.R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