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물"(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3기 활동 전 필수 수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좋아해서인지 친구들은 우리 집을 ‘동물농장’이라고 부르고 있답니다. 지금 기르는 동물은 잉꼬새, 햄스터, 고슴도치, 열대어, 붕어, 올챙이예요.Q 지사탐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2013년 12월 동아사이언스 천문대를 방문한 이후 어린이과학동아를 통해 2기 모집을 알게 됐어요. 모든 ...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해저 압력을 어떻게 버티는 것일까요?인도과학연구소 찬드라 티와리 박사팀은 연체동물 중에서도 조개와 소라가 어떻게 해저 압력을 버티는지 연구했어요. 조개와 소라는 단단한 껍데기를 짊어지고 다니다 위급한 상황에서는 안으로 숨어버리지요. 이 껍데기가 해저 압력을 얼마나 견딜 수 있을지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함께 질산염도 빨아들인다. 이런 식으로 식물이 얻는 질산염은 매년 910억 kg이나 된다. 동물은 식물을 먹음으로써 질산염을 얻는다. 결국 거의 모든 생명체가 번개 덕분에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번개는 숲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대개 키가 큰 나무가 번개에 맞을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무작위로 꽃잎이 돋아났다고 보기에는 수학적인 규칙을 정확히 따른다.스코틀랜드 동물학자이자 수학자인 다르시 톰프슨은 꽃잎이 빗물과 햇빛을 골고루 받아들이기 위해 피보나치수열을 따른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꽃잎은 대개 두 번째 꽃잎과 약 137.5°, 세 번째 꽃잎과 약 275°를 이루면서 ...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발표했다).공기를 통해 전염된다는 것도 탄저균의 무서운 점이다. 보통은 오염된 동물의 배설물, 사체 또는 흙에 닿았을 때 감염되지만 때로는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서도 체내에 침투할 수 있다. 탄저균이 체내에 들어오면 초기에는 약한 감기 증상이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급격히 악화돼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구더기 성장 속도는 거의 정비례한다. 파리는 외부에서 열에너지를 받아 성장하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이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오히려 성장을 멈추는 경우도 있지만, 임계점이 40~50℃라 웬만해선 넘지 않는다. 온도가 0℃에 가깝게 너무 내려갔을 때도 성장을 멈춘다. 성장할 수 있는 최저온도를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만들기란 쉽지 않다. 다만 염도가 높은 특수한 조건에서는 연체동물이 살 수 없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만들어진다. 샤크베이 말고도 살아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볼 수 있는 곳은 있지만, 샤크베이만큼 대규모로 만날 수 있는 곳은 없다.그 이유는 이렇다. 1만 년 전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빌렘 플루서를 인용한다. 플루서는 1991년 발간한 책 ‘디지털 가상’에서 우리에게 사람, 동물, 식물, 기계, 산과 바다로 보이는 모든 것이 실은 우리 감각에 나타난 가상일 뿐이며, 그 실체는 미립자의 조합이라고 주장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가상과 현실의 차이는 질적인 것이 아니라 양적인 것에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안 되는 짧은 시간동안 제브라피시(어류), 래트(포유류), 초파리(곤충) 등의 대표적인 실험동물은 물론이고 소, 돼지, 밀, 쌀 등 동 식물의 유전자 수정도 성공했다. 모두 이전에는 줄기 세포가 없어 유전자 조작을 할 수 없던 생물들이다. 인간이 드디어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생물의 유전체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같은 자세에서 최대 180°까지 볼 수 있다(사람은 눈이 앞쪽으로 몰 린 편이라 새나 초식동물에 비하면 시야각이 좁다).위아래로는 135°다. 위보다는 아래쪽으로 더 많이 볼 수 있다.초창기 HMD는 시야각이 형편없었다. 1968 년 미국의 컴퓨터과학자 이반 서덜랜 드가 개발한 최초의 HMD는 좌 우로 40°밖에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