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뉴스
"
박사
"(으)로 총 7,33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ETRI, 뉴프런티어 기술 공동연구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3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APS/URSI 학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윤
박사
과정생은 전자기학과 기하광학을 입자 군집 최적화 기술과 결합한 밀리미터 39GHz 광각 조향 렌즈 최적화 설계 방법론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전자기학, 기하광학을 입자 군집 최적화 기술과 결합한 설계 ... ...
미중 기술패권 중심의 신냉전 구도 속 한국의 글로벌 기술전략 모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2
설립해 학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진우 교수는 미국 애리조나대에서 AI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삼성SDS와 두산그룹전략본부, 클래리베이트 한국 지사장 등을 두루 거친 AI 기술전략 전문가다. 김 소장과 김 교수는 함께 ‘배터리, AI반도체, AI 글로벌 경쟁현황’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곧 ... ...
루비와 사파이어 보석 비가 내리는 외계행성 WASP-121 b
연합뉴스
l
2022.02.22
하지만 그 전에 밤 면에서 보석비를 내릴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 미칼-에반스
박사
는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이 수천 개에 달하지만, 관측의 한계로 대기의 일부분만 연구할 수 있었다"면서 "특정 지역에 국한된 단절된 관측을 넘어 진짜 3D로 행성 전체를 분석할 수 있게 됐다"고 이번 ... ...
세계 3번째 개발 양성자 가속기로 심장질환 진단 방사성동위원소 공급 ‘첫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식염수만으로 쉽게 용출할 수 있다. 원자력연 연구진은 김진수 한국원자력의학원
박사
와 함께 루비듐-82를 활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을 얻어내고 루비듐-82 발생기 핵심부품인 흡착컬럼의 성능을 확인했다. 원자력연은 이번에 첫 생산한 스트론튬-82를 한국원자력의학원에 ... ...
"모자라는 잠 늘리면 덜 먹는다"
연합뉴스
l
2022.02.21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 대학 수면 연구 센터(Sleep Research Center)의 에스라 타살리
박사
연구팀이 하루 수면시간이 6.5시간 이하인 과체중 성인 80명(21~40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유에스에이 투데이(USA Today) 인터넷판이 19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두 ... ...
모든 혈액형 이식 가능한 '장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O형 장기만 이식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에 참여한 아이주 왕 토론토대 외과학부
박사
후연구원은 “폐 이식이 필요한 O형 환자는 장기 제공을 기다리는동안 사망할 위험이 20% 높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인간의 장기를 대체할 수 있는 이종장기와 인공장기의 개발이 성공할 때까지 장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
2022.02.20
가학적인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신체적으로 고통이 느껴지는 사진을 보고 즐거움을 크게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느새인가 ...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 ...
일반인 4차접종 필요할까...파우치 등 전문가들 “판단하기엔 아직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접종 후 약 4~6개월 뒤부터 입원 억제 효과가 75~85% 수준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파우치
박사
는 이와 관련 “많은 사람들이 4차 접종이 필요하냐고 묻고 있는데 입원 억제 효과 78%는 나쁘지 않은 수치”라고 강조했다. 또 “만약 3차 접종의 효과가 4~5개월 뒤에도 계속 감소한다면 얼마나 빨리 ... ...
日 연구진 "스텔스 오미크론, 전염력·중증유발 더 심각할 수도"
연합뉴스
l
2022.02.18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연구 논문을 검토한 워싱턴대 의대 데버러 풀러
박사
는 백신 접종 후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람들은 스텔스 오미크론에도 어느 정도 방어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스텔스 오미크론이 BA.1 보다 더 심각한 유행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 ...
출연연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 위해 '장기 연구''핵심기술 국산화' 역할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8
수행하고 핵심기술 국산화와 산업 생태계 육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박사
후연구원과 학생연구원 등 R&D 인력 생태계 형성에도 앞장서며 산학연 협력 거점으로 기술인력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