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침엔 보드라운 식빵, 점심엔 든든한 샌드위치, 저녁엔 맥주와 함께 피자 한 조각.삼시세끼를 빵으로 해결하는 ‘빵순이’들의 귀가 번쩍 뜨일 소식이 나왔다. 빵의 주원료인 밀의 게놈(유전체)이 완전히 해독됐다는 소식이다. 365일 다이어트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겐 ‘전분저항성’을 가진 빵을,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제가 산업공학에 몸담은 지 35년이 됐는데, 아직도 스스 로에게 ‘산업공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는 우리의 원동력이기도 해요. 산업은 계속 바뀌고, 항상 새로운 것이 나타나니까요.” 홍유석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학과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최근 서울에서 두 차례나 ‘땅꺼짐’ 현상이 발생해 하마터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했다. 8월 31일 오전 4시 금천구 가산동에서 수십 m 길이의 도로가 6m 깊이로 가라앉은 데 이어, 9월 6일 오후 11시에는 동작구 상도동에서 땅이 꺼지면서 유치원이 무너져 내렸다. 그나마 두 사건 모두 사람이 없는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22일자에 흥미로운 논문 한 편이 실렸다. 그간 존재 가능성만 알려져 있던 초기 인류 사이의 이종교배를 입증할 수 있는 화석이 발견된 것이다. 말 그대로 가능성 수준에 머물러 있던 초기 인류의 이종교배가 DNA 수준에서 처음 확인됐다. DNA에 남아있는 인간 이종교배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눈처럼 하얗고 솜털처럼 보드랍고 달콤한 꽃향기가 나는 작은 이불. 손바닥으로 꾹꾹 누를 때마다 기분이 좋아졌다. 어른들은 가만히 누워 있으라고 인형도 쥐어주고 맛있는 젖병도 물렸지만 이불의 폭신폭신한 느낌이 좋아서 계속 기어 다녔다. 이불을 발로 누르면 어떤 기분일지 궁금했나 보다. ...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빛이 진공 중에서 1/299 792 458 초 동안 진행한 경로의 길이’ . 1983년 제17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정의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길이의 단위 ‘미터(m)’ 의 정의다. 전 세계 표준 과학자들은 값이 일정하고 변하지 않는 기본 물리상수로 단위를 재정의 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오는 11월에는 ... ...
- [Culture] 고양이가 자꾸 밖에 나가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저는 나파밸리에 큰 불이 났을 때 구조된 고양이를 입양해 이름을 ‘나파’라고 지었어요. 그런데 집에 데려온 첫날부터 밤에 창문을 긁고 심하게 울면서 잠을 못 자더라고요. 낮에는 정신없이 자고, 밤만 되면 울면서 창문틀을 긁고 가구 위에 놓인 액자들을 떨어뜨리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밤 ... ...
-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이번 사건도 잭 더 페인터의 짓이란 걸 알았다. 문제는 놈의 소행이란 것 말고는 아무런 단서가 없다는 거다.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페인터를 쫓아야 할까. 내가 가진 확실한 정보는 범행 장소뿐인데…. 아! 그렇다면 지리적 프로파일링 기법을 쓸 수 있지 않을까? 지리적 프로파일링이란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0] 세계화와 지역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세계화와 지역화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기업인 맥도날드는 세계 곳곳에 지점을 두고 많은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맥도날드는 각 국가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단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맛, 매장 분위기, 직원들의 서비스를 통일했다. 동시에 국가나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한 특화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우주군(space force)’이라고 하면 우선 SF 속 우주군부터 떠오른다.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사람이 아닌 외계인과 전쟁을 벌이는, 아직은 ‘비현실적인’ 우주군 말이다. 하지만 우주군과 함께 등장하는 우주기술은 지극히 실현가능한 것들이 많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실현가능성도 점점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