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컴퍼스가 원을 그리는 도구이고 복희의 곱자는 네모를 그릴 수 있으므로 하늘은 둥글고
땅
은 네모지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 관념을 상징한다고 할 수도 있다.곱자와 컴퍼스가 지닌 수학적 의미에 집중해보면 두 물체는 중국의 고대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개념을 상징하고 있다.복희의 곱자는 ... ...
바닷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나 선장 : 바다의 수면이 낮아지면 바다가 갈라져 길이 생깁니다. 얕은 바다 아래 있던
땅
이 드러난 것이지요.‘모세의 기적’이라고나 할까요?기자 : 바닷길은 왜 생기죠?나 선장 : 달과 지구 사이에는 만유인력이 작용합니다. 달과 지구의 힘겨루기 때문에 바다의 높이가 변하는데, 달의 힘이 가장 ... ...
과학으로 본 오리, 펭귄, 사람의 걸음걸이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일정한 속력을 유지해야 에너지 소모가 가장 적다.사람이 걷거나 뛸 때도 마찬가지다.
땅
을 디딘 발은 그 자리에 정지하고 디디지 않은 발은 앞으로 움직인다. 하지만 몸은 멈추지 않고 계속 앞으로 나아간다.육상 선수나 쇼트트랙 선수가 달리는 속도를 높일수록 팔을 앞뒤로 힘차게 흔들고, 마라톤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필수 ‘Must Have’ Her leadership포스코 광양제철소. 여의도 면적의 1.7배에 이르는 광활한
땅
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뛰고 있는 철의 심장. 심장이 펌프질하는 것은 뜨거운 피가 아니라 차가운 철이다. 연간 1700만톤의 강철이 광양제철소에서 생산돼 세계 곳곳을 누빈다. 특히 자동차강판은 세계 최고의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남극반도처럼 바 다와 접해있는 곳에서는 온도가 오르며 빙붕이 떨어져나갔다.마른
땅
에만 둥지를 만드는 아델리펭귄은 눈이 다 녹을 때까 지 기다려 알을 낳는다. 크릴이 한창 풍부한 시기를 지나 세상에 나온 새끼는 굶주림에 허덕일 수밖에 없다.어미 펭귄은 해빙이 줄어든 바다를 헤엄치며 ... ...
뉴턴도 몰랐던 중력 원인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않는 중국인이나 조선인에게는 아무의미도 없는 설명이었다.달걀에 거꾸로 붙은 개미?
땅
이 둥글다는 사실은 천문학적인 증거로 손쉽게 증명할 수 있었다. 월식 때 달에 비친 지구 그림자가 둥글다는 점, 남북 방향으로 먼 거리를 움직여 보면 북극성의 고도가 달라진 다는점, 동서 방향으로 멀리 ... ...
화학나라 토끼의 풀밭식사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자세히 보려고 비행기의 높이를 낮추면 토끼는 놀라 그 자리에 조용히 죽은 척하거나
땅
을 파고 들어가 숨어버릴지도 모른다.확률로만 알 수 있는 전자 운동수소(H) 원자를 이루는 전자는 화학나라 토끼와 같다. 음전하인 전자(토끼)는 양전하의 양성자(말뚝 위의 당근)를 좋아하기 때문에 원자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조금 어둡다. 후덥지근한 바람이 불자 버들강아지처럼 생긴 나무가 허리를 굽히며
땅
으로 휜다.조금 낯선 미래의 풍경, 놀랍게도 이곳에 인간은 없다. ‘미래 동물 이야기’는 인간의 멸종을 가정하고 그 뒤에 펼쳐질 풍경을 상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책의 제목 앞에 ‘인류 시대 이후의’라는 ... ...
PART1 당신의 '수학 혈액형'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말자.Trauma 정신적 외상형“수학은 배워서 뭐하지?”“수학 공부를 하느니 차라리
땅
을 파겠다. 동전이라도 줍게.”진단수학은 이미 초등학교 때 포기했고 덧셈, 뺄셈만 알면 사는데 아무 지장 없다고 생각하는 당신. 수학 혐오도 모자라 수학에 아예 관심이 없다. 당신은 수학 선생님과 안 좋은 ... ...
40억 년 묵은 바다맛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비는 지구의 온도를 낮춰 주었고 더 많은 구름이 비로 변해 폭포처럼 쏟아졌어요. 빗물은
땅
에 있던 염류를 녹였고 빗물이 모인 바다는 짠맛을 갖게 됐죠.40억 년 된 바다의 짠맛지금도 바다는 짜요. 바다에서 수영을 하다 바닷물을 먹으면 짠맛에 기분이 나쁘죠? 하지만 그 짠맛이 40억 년묵은 바다의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