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해
검토
해석
평가
코프롤라이트
비교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분석
"(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프레넬 회절을 프라운호퍼 회절로 근사할 수 있는 조건과 그렇지 못한 조건은 무엇인지
분석
했다.류 씨는 “활동 내용이 조선해양공학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지만, 학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과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는 부분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산성도가 2100년 예측치와 비슷한 해양 생태계와 현재의 평균적인 해양 생태계를 비교
분석
했지요. 3년 간에 걸친 조사와 해양 실험을 한 결과, 산성도가 높은 해양 생태계에서는 한두 종의 작은 물고기만 크게 번성하고, 다른 크기의 물고기들은 수가 크게 줄어들거나 멸종한 사실을 확인했어요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이때 앞쪽별에 행성이 있으면 빛의 증가가 불규칙적으로 일어나요. 연구팀은 이 변화를
분석
해 외계행성의 존재를 알아낸답니다. KMTNet은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월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 ...
[과학뉴스] 광케이블로 지진 포착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지진파를 측정해 위치와 규모 등을
분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의 특성과 지구 내부의 상태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진계는 육지에 설치돼 있다.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따라서 유전적 다양성이 높을수록 오래된 종이라고 볼 수 있다.공동연구진은 유전자
분석
을 통해 양서류에 치명적인 유전적 변이를 가진 항아리곰팡이가 언제 발생했는지도 추적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런 항아리곰팡이가 수천 년 전에 생겨났을 것으로 추정됐지만, 이번에 공동연구진은 불과 50~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제공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연구를 계속해 나갈 계획입니다.”이 책임연구원은 시험
분석
기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현재 널리 사용되는 표준용액, 인증표준물질 등의 인증값을 몰 단위로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기 위해 몰질량을 결정하기 위한 정밀한 동위원소비 측정 연구를 진행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생활 습관(1일 양치질 횟수, 간식을 먹는 횟수 등)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오 교수는 “
분석
한 미생물 중에는 충치 유발균으로 알려지지 않은 흔한 세균들도 있었다”며 “어릴 때 구강 미생물의 균형을 잘 잡으면 향후 충치가 생길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어릴 때 구강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서 씨는 어떤 식물이 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가장 잘 흡수하는지 실험을 통해
분석
했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소를 방문해 1박 2일간 직접 실험을 진행했다. 서 씨는 “실험 중 왜 오차가 발생하는지 깊이 고민했다”며 “이런 고민들을 자기소개서에 녹여낸 것이 좋은 결과로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분석
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요. 앞으로 TESS가 보내오는 데이터도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분석
할 예정이랍니다.Q시민과학자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여러 과학 분야에서 시민들의 활약이 점점 더 커지고 있어요. 이처럼 인류의 궁금증들을 해결하는데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할 수 있는 건 정말 행운이라고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유전자의 무작위성과 자연선택 중 어느 쪽에 영향을 많이 받았는지 추론하는 유전통계학
분석
방법. 연구를 이끈 아슬란 자이디는 “우리 연구는 일부 코 모양이 기후의 영향을 받았음을 뒷받침한다”며, “그러나 진화는 매우 복합적인 과정이므로 한 가지 이유로 코의 생김새가 결정됐다고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