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d라이브러리
"
특정
"(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 자격루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높아진다고 최근 발표했어요.연구팀이 뉴질랜드와 영국 어린이 3200명을 조사한 결과
특정
유전자가 모유를 먹은 아이들의 지능발달에 영향을 준 것을 알아 냈어요. 이 유전자는 두 가지 형태를 가지는데 C형 유전자를 가진 아이들이 모유를 먹었을 때 평균 지능지수가 7점 높았어요. G형 유전자를 ... ...
랄랄라~ 고속도로가 노래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곳은 경기도 시흥시 금이동 부근에 있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였다.“그런데 이상한건
특정
한 구간에서만 멜로디가 들린다는 거예요. 제가 졸다가 그 소리를 듣고 깜짝 놀라 차를 세웠거든요. 그랬더니 아무 소리도 안 나더라구요. 다시 자동차를 달리자 또 소리가 났고요.”“최고속 씨 말대로 ... ...
노벨상은 내 거야! -노벨상 VS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데 큰 공로를 세워 노벨상을 받았어. 유전자 적중법은 아기가 되는 배아줄기세포의
특정
유전자만 정확히 없애는 기술이야. 먼저 유전자 적중법으로 암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를 없앤 쥐를 만들어. 그 쥐를 연구하면 그 유전자가 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수 있지. 병을 일으키는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아니었구나. 오빠 나를 위해서라도 어서 나아 줘요!*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 뇌의
특정
부위에 혈액이 몰릴 때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그 부위를 마치 불이 켜진 것처럼 보여 주는장치. 어떤 부위가 밝은지에 따라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알아 낼 수있다.이남석 박사님이 들려주는 재미있는 ... ...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비슷한 모습을 한 물체만 봐도 자기가 항상 생각하고 있던 괴물로 보게 되는 거죠.
특정
물고기를 봤을 때나 캄캄한 밤에 검은 옷과 흰옷이 걸려 있는 걸 귀신처럼 보는 것도 우리가 사람얼굴에 특히 민감하기 때문이에요. 사람은 자기가 알고 있던 것을 바탕으로 해석하려 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꺾여 보이는 것이 빛의 굴절 때문이지.햇빛이 물방울을 만나면 빛은 한 번 꺾인 뒤
특정
한 각도로 물방울에서 되돌아 나와. 빨간 색은 약 42도, 보라색은 약 40도 벌어져 물방울에서 나오지.무지개는 보통 비가 오고 난 뒤 태양을 등지고 선 자리에서 볼 수 있단다. 아름다운 무지개도 만들 수 있는 거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거죠. 이 때 음향급이기를 이용한 소리 적응 훈련도 같이 해요. 물고기에게 먹이를 줄 때
특정
한 소리를 보내요. 일주일 정도 반복하면 물고기들이 이 소리에 적응하게 되죠. 즉, 소리가 들리면 ‘먹이를 주는구나’라는 생각을 하는 거에요. 이런 훈련을 시키면 물고기를 바다로 보낸 뒤에도 한동안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전체 어린이의 10%에 불과했다. 모피트 박사는 “
특정
유전자가 모유 수유 조건에서 지능을 높이는 것은 지능지수가 선천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 모두의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FADS2 유전자가 지능을 높이는 과정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보통 통신을 외부로부터 받기만 할뿐, 내보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사전 약속된 시간에
특정
한 장소로 부상해 지령을 접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신을 받을 때도 안테나를 수면 위로 내밀면 적의 레이다 등에 의해 위치가 탐지돼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잠수함은 수중에서도 수신이 가능한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형상기억합금을 원료로 만든 방화복이다. 형상기억합금은 다른 모양으로 바뀌어도
특정
온도에 이르면 변형되기 전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금속을 말한다. 연세대 의류환경학과 김은애 교수는 형상기억합금 용수철로 개량 방화복을 만들었다. 김 교수는 니켈(Li)과 티타늄(Ti)을 섞은 ‘니티놀’ 재질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