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46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지옥풀의 위험한 사랑을 도와주는 곤충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대체 어떻게 번식을 하는 것인지가 과학자들의 오랜 고민이었습니다. 식물의 형태나 꽃
모양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곤충을 이용해 꽃가루받이를 하는 것이 분명한데, 정작 꽃가루 받이를 도와줄 곤충을 잡아먹으니까요. 파리지옥풀과 관련한 연구는 1958년에 하나 발표됐는데, 당시에는 꽃가루가 다른 ... ...
고양이
모양
점이 있는 고양이 ‘인기’
팝뉴스
l
2018.02.06
높은 고양이의 자태다. 미국인 소개한 사진 속 고양이가 인기 있는 것은 검은 점의
모양
때문이다. 고양이 몸통 위에 고양이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위 사진의 촬영 앵글이 절묘하다는 평가다. 실제 고양이와 등 위의 고양이가 서로 빼닮아 보이도록 촬영했다. 사진 속 고양이는 고양이 ... ...
佛연구팀, 눈송이의 비밀 수학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18.02.06
모두 재현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눈결정
모양
을 정확히 재현한 모형은 거의 없었다”며, “눈결정 성장을 묘사하는 수학 모형은 기상학 연구나 항공기의 안전기준 결정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스트링 아트 조명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2.06
늘어날수록
모양
은 점점 더 원과 비슷해져요. 스트링 아트에서는 이와 같은 원리로 직선
모양
의 실을 많이 나열해서 아름다운 곡선을 만든답니다. [본격 메이킹 비법] 자가발전 조명등을 만들어라! 비법1. 손잡이를 돌리면 조명등이 반짝! 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조명등에는 배터리가 ... ...
벌레 사냥하는 난초?
팝뉴스
l
2018.02.05
순간 난초 꽃잎이 빠르게 움직여 벌레를 잡는다. 자세히 보니 난초가 아니었다. 난초
모양
의 사마귀다. 난초와 도저히 구분할 수 없는 외모를 가진 사마귀는 먹잇감이 가까이 올때까지 조용히 그리고 끈기 있게 기다리다가 번개처럼 공격했다. 짧은 영상이지만 드라마틱한 요소들은 다 갖췄다는 ... ...
31kg 감량했더니, 미녀
팝뉴스
l
2018.02.05
팝뉴스 제공 탄생 살을 빼면 얼굴
모양
도 바뀐다는 사실은 누구나 안다. 그런데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에 지난 1일 공개된 위 사진은 그 변화가 얼마나 극적일 수 있는지 보여 줘 큰 주목을 끌었다. 턱선이 살아났다. 코는 더 오뚝해지고 눈도 커진 것 같다. 한 마리도 미녀의 탄생이다. 화제의 ... ...
[필즈상 2018] 수학계의 샛별, 케플러 추측 푼 마리나 비아 조프스카 교수
수학동아
l
2018.02.05
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독일 수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3차원에선 공을 피라미드
모양
으로 쌓으면 된다고 추측한 지 무려 378년이 지난 1998년에야 엄청난 양의 컴퓨터 계산을 통해 문제가 풀렸으니까요. 2015년까지 4차원 이상의 문제에 관해선 해결된 게 전혀 없었습니다. 다만 2003년 헨리 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터라 자신이 연 가게가 잘 안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충격적이고 받아들이기 힘든
모양
이었다. 적당한 걱정은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여주기도 한다. 사람들은 어떤 목표를 설정하고 나면 목표까지 가는 길이 쭉 뻗은 일직선 도로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 역시 아직도 그런 사고방식이 ... ...
‘위성은하’가 우주에서 줄 맞춰 도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했다”며 “하지만 새 관측 결과를 설명하려면 암흑물질이 공
모양
이 아니라 거대한 띠
모양
의 우주 구조를 먼저 만들고 그 안에 물질이 (마치 빨랫줄에 빨래가 걸리듯) 모여 은하가 탄생했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구석기 인도인 손도끼 연구, 인류 이동 시기 앞당기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제공 고대 인류의 이동 경로와 문화는 그들이 사용한 손도끼나 망치와 같은 도구의
모양
으로 유추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는 인도까지 아슐리안 문화가 확대된 건 약 14만~12만년 사이라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 유럽과 거의 같은 시기인 약 38만 년 전에 다양한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