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뉴스
"
원자
"(으)로 총 2,551건 검색되었습니다.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교신저자인 안종렬 성균관대 교수(왼쪽)와 제1저자인 송인경 박사(오른쪽)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1나노미터(nm)급 반도체가 실리콘 기판 위에 ... 것을 이번에 실험으로 입증했다”며 “기존 반도체와 컴퓨터에는 물론 양자컴퓨터나
원자
컴퓨터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고전역학으로 기술된다고 했다. 그 중간은 어떻게 해야 할까. 크기로 이야기하면
원자
천 개에서 만 개의 크기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이를 중시계(mesoscopic system)라고 부른다. 중시계는 양자역학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크고 고전역학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작다. 아이도 어른도 아닌 청소년이라고나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빛이 돼 한 소년과 은하를 여행하며 우주에 대한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풀어간다.
원자
와 원소를 장난감 블록에 비유해 설명하고, 상대성이론과 중력이론은 트램펄린 위에 놓인 무거운 쇠구슬로 설명하는 등 기발한 예를 책 곳곳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밖에 뉴턴부터 도플러, 캐번디시,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있다. 하지만 작은 크기 때문에 구체적인 특성을 연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탄소
원자
1개 두께로 이어진 그래핀 필름 사이에 액체를 가둔 뒤, 그 안에서 여러 나노공기방울이 서로 합쳐지는 과정을 초진공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두 나노공기방울의 크기에 따라 두 가지 ... ...
인터넷 100배 빨라지고 뇌 혈관 손금처럼 본다
2015.02.05
국산 연구용
원자
로 기술도 10대 기술로 꼽혔다. 최초로 네덜란드에 진출한 한국
원자
력연구원의 성과다. 한국전기연구원은 빛의 깜빡임을 1000조 분의 1초까지 조절해 정밀 가공에 쓸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미국 임상 승인을 받은 ‘천연물 신약 폐질환 치료제’를 ... ...
30년간 이론에만 존재하던 양자컴퓨터 소재 드디어 개발
2015.02.02
소재의 물리적인 특성과 동일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후종 교수는 “이 소재를 이용해
원자
단위의 소자 구조 제어는 물론 그래핀을 이용해 다양한 초전도 양자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접수 양자역학의 창시자 슈뢰딩거는 1944년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에서 생명도
원자
나 분자 수준에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말은 많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줬다. 그리고 왓슨과 크릭이 1953년에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DNA의 분자구조를 밝혔다. 이로써 분자 수준에서 생명을 ... ...
도시 속을 걸으며 우주를 공부한다
2015.02.01
불문학과 독문학을 공부한 전문 번역가. 번역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김찬현 유럽
원자
핵공동연구소 출신 박사가 감수를 맡았다. ■사회적 뇌 인류 성공의 비밀(매튜 D. 리버먼 著, 시공사 刊) 인간의 사회성을 뇌구조에 비춰 분석해 본 책. 뇌과학 도서이자 인문학 도서가 나왔다. 사람의 ... ...
경주 방폐장 3월부터 운영한다
2015.01.31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내부 - 동아일보DB 제공 경북 경주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이 3월부터 본격 운영된다. 방사성폐기물을 처리하는 ... 설계·운영 경험 등 국내 연구용
원자
로 개발 역량을 토대로 향후 세계시장에 연구용
원자
로를 적극 수출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 ...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01.30
경우도 많다. 설탕보다 1000배 더 달다는 사카린이 대표적이다. 사카린은 자신의 탄소
원자
에 결합하는 할로겐 원소에 따라 단맛과 쓴맛을 왔다 갔다 한다. 특히 가장 커다란 요오드가 결합하면 아예 쓴맛만 남는다. 두 물질이 얼마나 비슷했으면 우리 혀에는 단맛 수용체와 쓴맛 수용체가 따로 있는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