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뉴스
"
지식
"(으)로 총 2,77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추석 보름달은 17시 50분에 ‘슈퍼문’ 보세요~
2015.09.17
주요 도시별 해발 0m 기준 달이 뜨고 지닌 시각. 다른 지역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
지식
정보 홈페이지 '월별 해/달 출몰시각(astro.kasi.re.kr)'을 참고하면 된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사색의 재료이자 도구이다. 넘치는 각종 데이터에서 사실과 주장을 구별하는 능력은
지식
인의 필수 소양이 되었다. 내용을 줄이고 대신 핵심 내용을 깊이 있게 가르치자고 하지만, 교과과정은 생각의 재료이다. 재료를 부족하게 주고 생각의 깊이를 기대할 수 없다. 반복적인 문제풀이를 줄여서 ... ...
[수학교육 논쟁]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자
2015.09.16
핵심 내용과 고차적 사고 기능을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수학교육에서는 수학
지식
보다는 수학에서 강점으로 내세우는 고차적 사고 기능이 우선돼야 한다는 말이다. GIB 제공 또한 양이 많아서 대충 주입식으로 가르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운운하는 것은 교육 현장을 전혀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시작했다고 상상해 본다면, 이것은 정말 터무니없는 공상일까. 저자는 자신의 과학적
지식
과 상상력을 더하고 버무려 지구상에 생명체가 잉태되는 순간에 대한 가설을 늘어놓는다. 1981년 처음 출간됐지만 현대에 들어 더 흥미롭게 들리는 ‘원조’ DNA 전문가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자. 반니 ... ...
아차 하는 순간, 앗 뜨거!…발전된 치료법으로 ‘마음의 화상’까지 지우세요
동아일보
l
2015.09.09
사회 복귀에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의사 출신 기자로서 일반인보다 화상에 대한
지식
이 많다고 자부했지만 필자도 얼마 전 커피를 쏟아 2도 화상을 입고 나서야 그 위험성과 고통을 실감했습니다. 다행히 화상 부위의 예후가 좋아 3주 만에 완치를 했지만 심하면 치료기간이 배 이상 길어질 수도 ... ...
[신나는 공부]‘만점’이 답이다… 3가지 실수 금물
동아일보
l
2015.09.08
수험생들의 발목을 잡을 만한 문제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본다. 국어 ― 배경
지식
은 잊어라 국어영역은 정확한 발음을 물어보는 ‘표준발음법의 적용’ 유형에서 실수를 많이 한다. 문제풀이를 많이 한 상위권 수험생일수록 지문과 문제유형이 눈에 익어 방심하기 때문이다. ‘빨리 풀고 ... ...
[광화문에서] 창조과학이라는 유사과학
과학동아
l
2015.09.08
주장에 이르면 그 파렴치함에 화가 날 지경이다. 자신 있으면 뒤에서 운동을 하지 말고
지식
이 형성되는 장에서 논문으로 제대로 겨뤄 보라.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싶다면 그래야 한다. 창조과학 관련 과목이 연세대 공대에서 개설돼 논란이다. 논란이 일자 제목에서 창조과학이라는 말을 ... ...
과학은 정말 객관적일까
2015.09.06
과학의 영역’이라는 의미로 쓰고 있다. 저자는 책을 통해 “언던 사이언스란 과학
지식
이 생산되는 과정에서 어떤 것들이 강조되고, 어떤 것들이 배제되는지, 왜 어떤 것은 옳다고 ‘판단’되고 어떤 것은 틀렸다고 ‘간주’되는지를 사회적, 정치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비판적으로 추적하고 ... ...
한국 ‘신종 감염병 대응 노하우’ 개도국에 전수
동아일보
l
2015.09.04
GHSA 준비TF 관계자는 “한국이 경쟁력 있는 보건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개도국에 관련
지식
과 노하우를 전수한다는 취지”라며 “최근 발생한 신종 감염병의 경우 개도국에서 시작돼 전 세계로 빠르게 퍼지는 경우가 많아 개도국의 감염병 대응 역량을 키우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1차 GHSA ... ...
“인문-상경계열 학생들도 컴퓨팅 사고 익혀야”
동아일보
l
2015.09.03
디지털 경제로 전공 공부를 심화할 수 있다”며 “우리 학교는 자기 전공에 새로운
지식
을 더하는 학생을 원한다”고 말했다. 안 처장이 밝힌 융합형 인재란 자기 전공의 문제에 대한 풀이 방법을 다각도에서 찾아내는 인재. 여기엔 학창 시절 한 가지 공부만 잘했던 학생이 아니라 좌충우돌하면서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