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는 생각이 들어도 게임 메뉴에 있는 랭킹에 들어가 전
세계
플레이어들의 점수를 보면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는 생각이 저절로 들거든요. 테트리스와 게임 방식이 비슷해서 테트리스를 잘 하는 방법이 1010!을 잘 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트리스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우리의 위치를 알 수 있어요. 인공위성을 사용해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을 ‘전
세계
위성항법시스템’이라 불러요. 이 위성항법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미국이 만든 ‘GPS’지요. GPS에는 지구에서 약 2만 200km 떨어진 궤도를 도는 24대의 인공위성이 사용돼요. 이 중 4대의 위성에서 나오는 전파를 ... ...
[과학뉴스] WHO “한국 청소년 근시
세계
최악 수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더 심각했다. 한국 대도시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약 97%가 근시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2위인 중국 청소년의 근시 발병률(67%)보다도 훨씬 높다. WHO는 보고서에서 “시력장애를 겪고 있는 인구의 절반은 이전에 예방할 수 있었거나, 지금부터라도 진행을 늦출 수 있다”며 ... ...
담배는 담배일 뿐, 향기에 속지 말자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흡연을 쉽게 시도하게 만들고, 흡연을 유지하도록 유인한다”고 분석했다.
세계
보건기구(WHO)도 담배규제기본협약(FCTC)을 통해 ‘담배 제품의 맛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의 사용을 금지 또는 제한하도록 규제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브라질은 2012년부터 모든 담배 제품에 가향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처음으로 발견한 이후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지구 바깥 궤도에 쏘아 올리는 등
세계
적으로 외계행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고, 그 결과 현재까지 4000개 이상의 외계행성이 발견됐다. 노벨상위원회의 평가처럼 두 사람의 발견이 ‘천문학계의 혁명’을 이끈 것이다. 현재 분광기의 성능은 사람이 걷는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중국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국은 2016년
세계
최초로 ‘모쯔(墨子)’라는 별칭을 가진 양자통신실험위성(QUESS)을 쏘아 올려 베이징과 오스트리아 빈 사이의 7600km를 무선 양자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조 선임연구원은 “양자기술이 정말 어디까지 ... ...
[과학뉴스]
세계
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해럴드 울프 독일 울름대 신경생물학연구소 교수팀이 최고 초속 0.855m로 달릴 수 있는 개미를 발견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개미 중 가장 빠른 속력이다. 연구팀이 찾아낸 개미는 튀니지 남부 두즈 지역의 사하라 사막에 서식하는 사하라은개미(Cataglyphis bombycina)다. 연구팀은 사하라은개미의 활동을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880초 정도로 알려졌다. 대개 찰나의 순간에 붕괴하면서 사라지고 마는 입자의
세계
에서는 수명이 꽤 긴 편이다. 가령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의 평균수명은 1.56×10-22초, 힉스의 흔적을 알려주는 뮤온 입자는 평균수명이 2.1969811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다. 문제는 880초라는 숫자가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스웨덴 노벨박물관 시니어 큐레이터는 2016년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100년 전에는 전
세계
에 물리학자가 약 1000명뿐이었다면 지금은 100만 명에 이른다”며 “노벨상 후보자의 수가 늘어난 만큼 노벨상을 받기까지 대기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과거나 지금이나 과학자들이 핵심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의문의 사고로 20년 동안이나 얼어있게 됩니다. 2019년이 돼서야 녹은 두 사람은 자신들이
세계
최초의 냉동인간임을 만천하에 알리죠. 이들은 늙지 않고 20년 전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습니다. 사실 의학적인 측면에서 냉동 기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신장 냉동과 해동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