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성
성취
만료
뉴스
"
완료
"(으)로 총 2,52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민간이 만든, 민간을 위한 공간 생겼다
2016.05.29
미국의 우주개발 기업 비글로 에어로스페이스가 개발한 우주 거주 시설인 ‘비글로의 확장 가능한 활동 모듈(BEAM)’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설치된 모습을 그린 상상도(동그라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BEAM을 ISS에 정상적으로 설치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 NASA 제공 국제우주정거장(ISS) ... ...
서울대 자율주행차, 고속도로 첫 주행
완료
2016.05.27
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이 만든 자율주행차. 고속도로를 안전하게 40km 주행하는 데 성공했다.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제공 국내 대학이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차가 국내 첫 고속도로 시험 주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자율주행차로 개조한 ... ...
척수도 출력이 되나요? 3D 바이오프린터의 세계
2016.05.20
환경도 제각각이어서 이를 모두 충족하는 조건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이 과정만
완료
되면 3차원으로 세포를 쌓아 올려 척수 조직을 찍는 바이오프린팅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햇빛만 받으면 충전
완료
, 피부 밑에 넣는 태양전지 개발
2016.05.17
쥐의 피부 밑에 태양전지를 삽입한 모습.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배터리를 바꿀 필요가 없는 ‘피부 속 태양전지’가 나왔다. 이종호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팀은 피부 속으로 들어오는 빛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동물실험을 통해 그 성능도 확인했 ... ...
‘동해권 크루즈’ 17일 첫 출항
동아일보
l
2016.05.14
말했다. 크루즈 상품을 판매하는 롯데관광 관계자는 “올 1월 말에 벌써 2000명의 접수를
완료
하고 대기자가 생겨 내년에는 확대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 [최영훈의 법과 사람]헛되고 또 헛된 박 대통령 퇴임 후 정치세력화 - 엘리베이터서 성폭행 당할 ... ...
‘한우물 연구’ 가능하게…10년 이상 장기과제 비율 2배로
2016.05.13
연구개발(R&D) 과제에 대한 평가를 맡은 적이 있는데, 80%가 기업에서 개발 중이거나 개발
완료
된 기술이었다.” L사의 최고기술책임자가 최근 열린 출연연 간담회에서 내뱉은 발언은 한국 R&D의 현실을 한마디로 압축하고 있다. 그동안 출연연이 대학이나 기업과 차별성 없이 연구를 수행한 탓에 ... ...
재난 지역에서도 와이파이 자유롭게 쓴다
2016.05.12
CCTV)를 이용한 영상전송 시험과 인터넷 전화,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위성전송 시험을
완료
했다. 오덕길 실장은 “최근 세계적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초소형기지국(VSAT)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지만 외산 장비 의존도가 높은 것이 단점이었다”면서 “이번 기술개발로 시스템 전체를 100% 국산화한 ... ...
민주주의 꽃, 투표는 누구를 위한 디자인인가
2016.05.04
가지고 있는 플로리다 주의 결과에 따라 당락의 운명이 정해질 판세였다. 투표
완료
후의 최종 결과는 부시 측이 1784 표로 앞선 거였는데 그 차이가 0.5% 미만이라 플로리다 주의 법에 따라 다시 자동 재검표를 진행하였다. 재검표의 결과 327표로 차이가 줄어들었다. 그 과정에서 팜비치(Palm Beach)란 ... ...
7200억 원 투입한 인공위성 ‘천리안 2호’ 조립현장 가 보니
2016.04.29
하나로 합치면 우주에 올라갈 천리안 2호가 완성되는 셈”이라며 “천리안 2호 개발이
완료
되면 정지궤도위성을 100% 국내에서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두 번째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2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위해우려제품 제도’ 구멍 숭숭… 제2 살균제 사태 우려
동아일보
l
2016.04.28
제품 정보를 업체에 요구하는 것은 최소한의 규제”라고 말했다. 한 번 위해성 평가를
완료
한 제품을 재평가하는 규정이 없다는 것도 문제다.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과 빈도, 기간은 소비 트렌드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이에 따른 유해물질의 흡입·노출량도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