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장치
"(으)로 총 4,3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10
짜여진 줄거리와 신세대 감각에 어필하는 연출, 무엇보다도 기존 공포영화들의 관습적인
장치
들을 조롱하고 희화화하면서도 그 규칙을 충실히 따라가고, 그러면서도 기존 영화들을 훌쩍 뛰어넘는 구성이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 영화의 무대는 우즈버로라는 미국의 조그만 마을. 깜짝 카메오로 ... ...
하늘에서 땅속까지 대통령을 사수하라
과학동아
l
200110
육·해·공군 사령관에게 암호로 된 군사명령을 내리고 각 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비디오
장치
가 있다. 뒤편으론 대통령 집무실과 침실, 거실 등이 있다. 창고엔 한꺼번에 2백명의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저장돼 있으며 비상탈출을 위한 낙하산은 50개 정도 비치돼 있다. 만약의 사태를 위한 ... ...
② 비행기 한대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과학동아
l
200110
있는 코어도 자신의 무게 이상을 지탱했다. 바닥무게의 절반, 엘리베이터와 다른 기계
장치
까지 버틸 수 있었다. 또한 코어와 외곽철골기둥을 강철 트러스가 묶어주었다. 하지만 엄청난 화재로 인해 온도가 8백℃까지 올라가자 철골은 매우 약해졌고 더이상 자신의 무게도 떠받치기에 버거워져 결국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10
영국 캠브리지대 데이비드 클레너만 교수가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
장치
를 개발했다는 흥미로운 소식을 전했다. 아마도 멀지 않은 장래에 집집마다 화재경보기와 함께 감기 바이러스 경보기가 쓰이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이러한 응용분야를 위해서는 생화학물질을 다룰 수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미약하나마 자기장을 발생시킨다.이 자기장을 SQUID라는
장치
(역시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장치
로 미약한 자기장을 검출한다)로 측정한다. 저온 검출기의 장점은 매우 낮은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과 감마선에 의한 배경을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미약한 에너지 변화와 함께 윔프 탐색에서 ... ...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10
12볼트짜리 배터리의 크기를 보면 1-2천만kw를 저장하기 위해서 얼마나 큰 규모의 저장
장치
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벼락을 잡는 기술보다 저장 기술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 정부나 대학의 대규모 연구기관이 아닌 개인 발명가가 개발 우선 순위를 혼동한다면 파산하기 십상이다.발명가들의 약점 중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10
일반 유선전화로 시외교환을 호출해 차량전화번호를 알리고 교환원이 선택 호출
장치
버튼을 누르면 전파신호가 발사돼 차량 전화의 벨이 울리는 방식으로 사용됐다. 통화품질이 나빴음은 물론, 이동전화의 수요에도 충분히 대처할 수 없다. 더욱이 국산 유선전화기인 ‘체신 1호’가 생산되고 ... ...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09
적외선 감지
장치
를 이식하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굳이 장애가 없어도 기계
장치
를 이식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렇게 되면 인간은 새로운 감각기관과 운동능력을 지니게 돼 앞으로 현재의 인간 지능을 능가하는 기계가 출현해도 인간이 여전히 지배적인 위치에 있을 수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09
에릭슨, 모토롤라 등 세계 3대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뇌종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장치
를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올해 신문지면을 장식한 휴대폰 전자파 관련 기사 중 일부다. 현재 국내 휴대폰 이용자는 전체 국민의 5명 중 3명 꼴. 휴대폰은 다른 전기전자 기기와 달리 머리 부위에 밀착시켜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09
친구의 메일이 도착해 있다. 기다리기로 작심한 H양은 어제 못다 읽은 소설을 저장
장치
에서 불러내 읽기로 한다.현재로서는 상상일 뿐인 이 얘기는 가까운 미래에 현실로 다가올지 모른다. KAIST 분자소재연구실에서 유기분자를 이용한 최첨단 정보통신 소자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