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맨틀 속 신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생각했어요.하지만 연구팀이 시뮬레이션으로 수활석에 맨틀과 같은 압력과 온도를 주는 실험을 해 본 결과, 물질들의 결합 구조만 바뀔 뿐, 분해되진 않았지요. 이에 따라 연구팀은 맨틀 속에 물을 품은 수활석이 많이 있을 거라고 결론을 내렸답니다.맨틀 속 물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는 중요한 ... ...
- [과학뉴스] 속닥속닥~, 박테리아의 대화를 엿듣는 아메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네덜란드 국립생태연구소 연구팀은 토양에 사는 6종의 박테리아와 3종류의 원생생물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박테리아가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정도에 따라 원생생물의 활동성을 관찰했지요. 활동성이 증가하면 영양분을 많이 섭취할 수 있어요.관찰 결과, 연구팀은 박테리아의 화학물질에 따라 ... ...
- [과학뉴스] 긴장할 때 숨을 빨리 쉬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때 훨씬 더 빨리 인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놀란 표정은 호흡과 큰 관계가 없었다.실험에 참가한 크리스티나 젤라노 노스웨스턴대 신경학과 교수는 “숨을 들이마시는 시간이 길어지면 그만큼 두려움을 관장하는 편도체의 활동도 오래 지속된다”며 “공황 상태에서 호흡 리듬이 빨라지는 것은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주면 전압에 따른 전류 특성이 세 가지로 구분되는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 있다.지금까지 실험적으로 이를 구현한 적은 없었는데, 연구팀은 두 물질의 경계면에 고압으로 수소를 넣어 주는 공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전압을 높이면서 이 소자를 동작시켰을 때, 하나의 소자에서 세개의 전류 신호 ... ...
- [Issue] 젊음 주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Q 광고처럼 노화 방지나 미백 효과가 정말 있을까?사람에 따라 느끼는 효과가 다르며, 실험을 통한 객관적인 수치가 없다.정맥 영양주사에 들어가는 성분만으로는 주름이 생기는 것을 막거나 이미 생긴 주름을 펴고, 심지어 피부를 하얗게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직접적인 노화증상을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지진이 발생한 지점의 암석샘플을 채취해 물성을 측정하고 실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하지만 해저지각을 10km 이상 시추하는 것은 쉽지 않다. 우리 탐사대가 순다 지진대로부터 수백 km 떨어진 ‘섭입 예정’인 해저 퇴적물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이곳에 쌓인 두께가 약 1. ... ...
- [Origin] 거절 못하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몇 명이나 응했을까.연구팀은 10명에 한 명꼴로 부탁을 들어줄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실험 결과 3명 중 한 명 꼴로 응했다. 학생들은 ‘이런 행동은 옳지 않다’거나 ‘나중에 잘못될까봐 두렵다’고 느끼면서도, 단지 부탁을 받았다는 이유로 책에 낙서를 했다(doi: 10.1177/0146167213511825). 권위 있는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말했다.연구팀은 다음 단계로 마이크로 로봇을 넣고 생체내에서 직접 조종해 보는 동물 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또 용도별로 다른 기능을 가진 마이크로 로봇도 만들고 있다. 예컨대 원하는 위치에 도착한 뒤 약물이 포장된 물질을 내려놓고 배출되는 로봇이나, 목적지에 도착한 뒤 녹아 없어지는 ...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있거든요. 다음에는 크기가 큰 먹이와 작은 먹이를 같은 수만큼 수조 양쪽에 두고 같은 실험을 했습니다.구피는 물고기 수를 잘 구분한다고 해서 먹이 크기를 잘 구분하지는 않았습니다. 어떤 구피는 포식자를 피하는 일에, 다른 구피는 먹이를 구하는 일에 특화됐지요.연구팀은 이것이 구피가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교수팀은 2013년에 도로 위에 무선충전도로를 설치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며 달리는 실험에도 성공했습니다. 도로에 설치된 송신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니 기존 전기자동차에 비해 배터리 용량도 훨씬 줄어들었지요. 서울대공원에 있는 전기열차도 무선충전도로를 이용합니다.앞으로는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