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처음에는 헬리콥터로 착각했다. 가만히 보니 크기는 대형트럭만하고 모양은 원통형에다
지면
에서 30m 높이에 떠있었다.황조장은 재빨리 차를 돌려 그뒤를 따라 고속도로쪽으로 차를 몰고 갔다. 오렌지빛을 내고 있던 UFO는 고속도로를 따라 점점 빠른 속도로 날고 있었다. 황조장도 속도를 올렸으나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실생활에 출현할 것이다.형상기억합금일반적으로 금속은 한번 휘어지거나 망가뜨려
지면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지 못한다. 그런데 형상기억합금은 어떤 일정한 형상을 기억했다가 조건(온도 등)이 맞으면 기억한 형상대로 되돌아오는 금속을 말한다. 가장 쉬운 예로 굽은 철사를 불에 가까이 댔을 때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적색거성으로 팽창해 지구와 수성이 불타버리고 타이탄이 지금의 지구처럼 따뜻해
지면
, 톨린을 먹은 박테리아들이 진화해 타이탄을 생물로 가득 채워진 위성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스포츠로 몸을 움직이면 자극이 뇌로 전달돼 뇌가 활성화된다.어린 아이들은 발바닥이
지면
에 닿는 정도와 비례해 뇌가 발달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움직임이 뇌를 자극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걷는 것도 뇌에 적당한 자극을 준다. 산보하는 도중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예가 있는 것도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트론'등 다음세대 프로젝트로 연결되고 있다.인공지능의 연구분야가 여러 갈래로 갈라
지면
서 각 분야의 학자들은 어떤 이론이 AI를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가를 놓고 가끔 격렬한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컴퓨터는 인간의 마음을 가질 수 있는가. 아직도 쉽게 답할 수 없는 의문이다 ... ...
동물체 내에 유전자 주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자기복제없이 일정기간 단백질을 발현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의외의 충격이 가해
지면
유전자의 발현이 시작된다. 존스톤의 실험결과 새앙쥐의 피부에서는 2주동안, 새앙쥐의 간에서는 3주동안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됐다. 면역을 일으키는 백신의 투여에는 일정기간만 발현하는 유전자 존재가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변환기가 있다. 의족에 의존하는 사람이 땅을 밟아 이 변환기에 어떤 물리적 압력이 가해
지면
물리적 압력은 곧 전압으로 환산된다. 다시 이 전압은 배터리로 가동되는 전자인터페이스(interface, 의족의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다)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는 의존환자의 실제 피부와 접하고 있는 전기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다이어트를 삼가해야 한다. 동시에 과식도 삼가야 한다.그러나 일단 변비증세가 확고해
지면
자가요법만을 지속하는 것보다는 의사의 도움을 청하는 것이 좋다. 변비가 단순히 대장기능의 장애이상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암이나 게실염의 '신호탄'증세라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또는 쉬바르츠실트(Schwarzschild)반경이라고 한다. 즉 천체의 반경이 ${R}_{c}$이하로 작아
지면
모든 물체나 빛은 그 표면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으므로 반경이 ${R}_{c}$인 면을 검은 구멍의 표면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은 구멍이란 빛이 나올 수 없고, 모든 물체(빛도 포함)를 일방적으로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산물인데, 사고는 하루 아침에 뒤바뀔 수 없으며 오랜 세월에 걸쳐서 서서히 다져
지면
서 변해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사고는 옛부터 가꾸어온 전통의 산물이며, 따라서 수학도 전통을 저버릴 수 없다. 여기서 말하는 '수학'이란 교과서 등을 통해서 받아들인 구체적인 수학지식이 아니라, 훨씬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