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특이점에서는 일반상대론이 깨지게 됩니다. 한 5년 동안 우리는 일반 상대론 내의 인과
구조
에 대한 이론을 독점적으로 개발했죠. 아주 멋진 일이었습니다. 입자물리학처럼 경쟁이 치열한 곳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죠. 당신도 입자물리학을 연구한다면서요?”┗네. 말씀대로 우리 분야에서는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만약 판
구조
운동이 없었다면 지구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생명체의 탄생에도 판
구조
운동이 도움을 줬다는 견해가 있다. 원시지구의 진화 과정은 아직 많은 부분이 비밀에 싸여있다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때문이다. 지의류는 엽록소를 가진 미세조류 혹은 남세균을 균류가 둘러싸고 있는
구조
다. 엽록소가 속에 감춰지니 색이 선명할 수 없다. 그런데 좀 이상하다. 두 가지 미생물이 결합해 하나의 생물을 이루고 있다니. 만약 사람 몸 안에 늑대 세포가 함께 섞여 있다면 얼마나 이상할까. 사람이라고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발전소를 만들기 힘듭니다. 원자력 발전은 부품 수가 500만 개가 넘는 아주 복잡한
구조
물이기 때문이죠.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원자로 설계가 한결 편해집니다. 이것을 ‘거대설계공학’이라고 부릅니다.Q 원전 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다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같은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검증하기 시작했다.광시야관측으로 은하 수천만 개의 분포를 알게 되면 우주거대
구조
가 진화한 역사를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가정한 중력상수가 우주 전 공간에 적용되는지도 알 수 있다. 이런 노력이 2020년경에는 결실을 맺는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이 발표된 지 올해로 100년. 우리는 ... ...
Intro.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개발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과학동아항공이 마련한 차세대 비행기 설계안을 토대로
구조
부터 항법까지 차근차근 뜯어보겠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Part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비행을 할 때는 합체해서 효율적으로 비행하고 현장에 도착하면 분리해서 수색이나
구조
를 더 빠르게 수행합니다.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반기술실장 : 트랜스포머 비행을 하면 연료 사용량을 10~12% 줄일 수 있을 겁니다. 비행기 양 날개 끝에는 공기 흐름이 불안정해지면서 마찰력이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사이’ 존재하는 화합물의 결정
구조
밝혔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플라스틱 제조 공정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며 “수퍼옥소의
구조
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이들 화학반응을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미토콘드리아 DNA는 분명 사람의 것이었던 반면, 핵 DNA는 그간 보지 못했던 새로운
구조
였다는 것이다. 이는 “빅풋은 검은 털로 뒤덮인 미지의 새로운 영장류(혹은 인류)일 것이다”라는 일부 빅풋 신봉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였다. 41쪽에 달하는 이 논문은 대중과 빅풋 신봉자들의 폭발적인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통신망 장비의 핵심 부품인 패킷 전달 칩(엔진)의 고속화를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
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진흥 부문 수상자인 유 연구원은 2012년부터 ‘아시아태평양 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APNN)’ 의장을 맡아 아태지역 여성과학기술인의 역량 강화와 상호협력 체계 마련에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