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것 같지는 않다. 호킹이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입학할 때 지도교수로 당시 유명했던 우주론 학자 프레드 호일을 원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례다. 프레드 호일은 ‘정상 우주론’을 주장한 학자고, 알다시피 현재 대부분의 우주론 학자들은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고 ...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국제 학술지 ‘네이처 유전학’ 2017년 4월 24일자에는 페리 수석연구원 팀이 32만9345명의 유전 정보를 분석한 결과가 실렸다. 지금까지 진행된 유전자 분석 연구 중에 가장 큰 규모다. 이 연구를 통해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일부 암의 발생 위험이 덩달아 증가한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됐다. 유전자 38 ...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정신의 진화 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등을 썼으며, 저서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를 번역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Part 3. 직접 ...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로봇, 뇌·인지, 에너지, 뉴바이올로지 등 다양한 부문을 고루 배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최 입학처장은 “다양한 분야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융복합 인재만이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며 “한 분야의 전문가이면서 동시에 다른 전공과 소통이 가능한 융합인재가 되고 싶은 ...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더하면 0이 되는 제로섬 게임에 2명이 참여할 때, 최소 극대화 게임의 해가 1개라는 걸 증명했습니다. 위조범과 경찰이 최소극대화 원칙으로 행동할 때 균형을 이루는 결론이 있다는 거죠. 굿펠로우는 이게 판별 모형의 정확도가 50%일 때라는 걸 보였습니다. 생성 모형이 판별 모형도 못 알아보는 ... ...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짜는데, 차량을 빌리는 비용이 많이 들어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가 학생은 15명으로, 버스 좌석보다 적었던 것이다. 결국 동아리원이 아닌 학생도 참여할 수 있게 남는 자리만큼 희망자를 모집하기로 했다. 광고문도 손수 제작하고, 누가 면접을 볼지, 면접 질문은 어떻게 할지 모두 토론을 ... ...
-
- 놓고, 밀고, 넘어라! 9명의 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밤의 꿈’에 ‘9명의 모리스에 진흙이 가득해’라는 대사가 나온 걸 보면 셰익스피어도 9명의 모리스를 즐겼나 봐요! 김종락 서강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포스텍 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 학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시카고캠퍼스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 ...
-
- [시사과학 뉴스] 콜록콜록, 독감 환자 급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유럽, 미국에서도 독감이 빠르게 번지고 있지요. 영국에서는 독감으로 인해 한 주 동안 45명이 숨졌으며, 미국에서는 학생과 교사들이 단체로 독감에 걸리는 사례가 많아지자 일부 주에서 비상 휴교령까지 내렸답니다. 올겨울 유행하는 독감의 특징은? 이번 독감의 특징은 A형과 B형, 두 가지 종류의 ...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1040보다 좀 더 많습니다. 정말로 1040개 이상의 집합으로 나눠야 할까요? 좀 더 좋은 증명을 통해 더 작은 수로 나눌 수는 없을까요? 집합이 얼마나 필요한지 참 궁금합니다. ※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서울의 2호선처럼 순환하는 모양으로 노선을 만드는 게 유리한 이유를 수학적으로 설명했지요. ○, △, ○, ○, △ 역을 연결한다고 합시다. 첫 번째 역에서 마지막 역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T일 때, 직선 노선이라면 첫 번째 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돌아오는 데 2T의 시간이 걸립니다. 반면 순환형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