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달 얼음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얼음에 진심인 펭귄들을 보니 갑자기 궁금증이 생겼어요. 저렇게 모은 얼음을 어디에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또 얼마나 많이 필요한 걸까요? 달 하루 생활에 필요 ... 따라서 미래의 천문학자인 독자 여러분의 활약이 중요합니다. 달과 물 관련된 최신 연구에 흥미를 갖고 지켜봐 주세요 ... ...
- [가상 인터뷰] 마침내! 화성 바위 표본을 수집한 퍼시비어런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가장 중요한 탐사 임무 중 하나예요. 어떤 임무인지 소개해 주세요!지구의 과학자들이 연구할 수 있도록 화성의 암석 표본을 채취하는 임무예요. 제 로봇팔에는 드릴이 장착되어 있어 화성 암석에 구멍을 뚫을 수 있어요. 이 구멍에서 암석 표본을 채취한 뒤, 타이타늄으로 만든 시료 관에 담아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유전체 정보를 분석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지요. 이를 교육이나 연구를 위해 무료로 나눠주거나, 민간에 분양해요.마이크로바이옴은 생물의 몸속에 사는 미생물 생태계를 뜻해요. 생물에게 유익한 기능을 하는 미생물도 있지만, 특정 환경 조건에서 생물을 아프게 하는 균도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하나는 한 가닥?DNA VS RNA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발라수브라마니안 교수팀이 사중나선이 만들어지는 순간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사중나선이 구아닌 염기 4개가 결합해 만들어지며, 이중나선보다 훨씬 안정적인 구조라고 밝혔지요. RNA우리 몸에는 DNA와 다른 유전 물질인 ‘RNA’가 있어요. RNA는 ‘리보핵산’의 준말로, 분자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맞추지 못하고, 계속 스마트폰을 보는 이유 중 하나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뇌과학 연구가 있습니다. 스웨덴 정신과 의사 안데르스 한센은 뇌가 스마트폰이라는 디지털 미디어에 최적화돼 있지 않아서라고 했지요.비유하자면 진화는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생명체의 업데이트 과정입니다.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채소, 과일을 준비했어. 그리고 나는 채소부터 냠냠 먹었지…. 기획 / 특집 中… 이번 연구에서 특히 식이섬유나 해조류를 먹는 장내 미생물들이 확인 … (하략) … 문제는 달의 얼음이 ‘레골리스’라고 불리는 달의 흙, 먼지에 뒤섞여 … (하략) 식이섬유(dietary fiber, ) 위장에서 음식물을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수의과대학생과의 첫 멘토링, 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알레르기가 있는 동기가 있어요. 만약 알레르기가 심하다면 비임상수의사가 되어 연구를 할 수 있을 거예요. 심하지 않은 경우 알레르기를 관리하면서 임상수의사로 일하시는 분도 있답니다. Q해부학 실험은 동물을 괴롭히는 일이 아닌가요? 유해나수의과대학에서 동물을 치료하는 법을 실습으로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 설계의 필수 조건, NPC를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이름을 ‘스티븐호킹’으로 바꾸고 “우주의 탄생 과정을 설명한 이론이 뭘까? 내가 연구한 이론이기도 해!”라고 대화를 입력해 보세요.➌ NPC 설정창의 ‘고급 설정-명령 추가’를 누르세요. ➍ 버튼 모드를 켜고 정답이 될 버튼의 이름에 ‘빅뱅이론’이라고 입력하세요. ➎ 명령 칸에 ... ...
- [특집] 달 얼음 또 어디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대기가 없어서 초속 450㎞로 쏟아지는 태양풍이 달 표면에 그대로 도달해요. 터커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태양풍 안에 있던 양성자가 달 암석에 있던 전자와 반응해 수소(H) 원자가 만들어져요. 또 달의 표면에 다다른 태양풍은 흙을 구성하고 있는 이산화규소(SiO₂)의 결합을 끊어요. 이로 인해 산소(O) ... ...
- [과학 뉴스] 그림에 숨겨진 아기천사, 350년 만에 나타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즉, 그림이 완성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누군가 물감을 덧칠했다는 뜻이지요. 연구자들은 덧칠을 벗겨내기로 했고, 2018년부터 3년 동안 전자현미경과 메스로 물감과 변색된 광택제●를 벗겨냈어요. 복원된 그림은 큐피드는 물론, 원래의 화사한 색감까지 되찾았지요.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