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발현돼 새로운 단백질들의 합성이 활발히 일어난다. 이로써 시냅스 강화를 훨씬 더
오래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장기기억이 형성될 때 단백질 합성은 필수 요소인 것이다.쥐와 달팽이의 숨은 공로신경세포 내 분자 수준의 연구에 불을 붙인 공은 달팽이에게로 돌아간다. 미국 컬럼비아대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방식이다. 따라서 스테레오그램은 단 한번 촬영하는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보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스테레오그램은 사진을 찍을 때마다 다른 포즈를 취하면 각도에 따라 여러 포즈가 나타난다. 기울기에 따라 달리 보이는 신용카드 앞면 홀로그램처럼 말이다.영원불변의 사진“인체 홀로그램은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고열 가스가 새어나와 주연료 탱크에 불이 옮겨 붙어 폭발했던 것이다.문제는 NASA가 이미
오래
전부터 오링의 부식 가능성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사고 발생 1년 전에 이미 로켓 추진기 설계기사는 NASA에 오링의 결함을 보고했었다. 특히 1986년 1월 15일 챌린저호 발사 2주전 챌린저호의 발사를 ... ...
걸음걸이 돕는 힘줄 지킴이 무릎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두 발로 일어선 후부터는 발꿈치를 들고 있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까치발 자세로
오래
서있으면 힘든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발꿈치를 내려 지금처럼 발꿈치가 땅에 닿게 된 것이다. 즉 사람은 네 발이 아닌 두 발로 서있기 때문에 땅에 닿는 발 면적을 넓힐 필요가 있었다.사람의 발꿈치가 땅에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가장 좋은 날을 기다려야 했다.두 날개는 폭이 좁고 매우 길다. 최대한 적은 연료로
오래
날 수 있도록 공기역학적으로 설계됐다. 비행기의 동체 길이는 13m지만 양 날개 끝 사이는 34m나 된다. 꼬리날개도 날개 중간에 달려 있는 연료통 끝에 붙어 있다.제트 엔진이 달린 글로벌 플라이러는 모두 13개의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일본 사람들보다 브롬 난연제의 농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소각장 근로자의 경우
오래
일한 사람일수록 혈중 브롬 난연제 농도가 더 높았다.연구팀은 또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개구리에 다이옥신 유사물질을 찾아내는 미생물을 넣어봤다. 이 미생물은 유전공학 ... ...
황금 주파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얘기다. 이를 전세계로 확대해 계산하면 천문학적 액수가 나온다.이 때문에 전파는
오래
전부터 공동 관리 대상 목록 1호로 올라있다. 전파도 아껴쓴다1934년 출범한 국제전기통신연합(ITU)도 바로 이런 배경에서 출발했다. 공동자원인 전파를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상호간에 원활한 통신이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무려 2년 2개월이나 걸린다. 즉, 외행성일 경우 회합주기는 지구에 가까운 행성일수록
오래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목성의 회합주기는 토성보다는 길고, 화성보다는 짧다.올해 4월 15일이 되면 목성은 태양에서 가장 먼 위치인 원일점에 다다른다. 따라서 올해는 목성이 원일점에 위치하는 만큼 다른 ... ...
추운 겨울을 이겨 낸 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꽃이에요. 복을 의미하는 복(福)자에 목숨을 의미하는 수(壽)자를 써서 복을 많이 받고
오래
살라는 뜻이랍니다.노루귀는 왜 노루귀일까요? 꽃이 질 무렵 잎이 돋기 시작하는데 그 모양이 마치 노루의 귀를 닮아서 노루귀란 이름을 붙였답니다. 앉은부채도 생김새 때문에 붙인 이름인데요. 잎이 땅에 ... ...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햇매를 ‘보라매’라고 부르고요. 집에서 길들여 훈련시킨 매를 ‘수진이’, 야생에서
오래
자란 매를 훈련시킨 매를‘ 산진이’라고 부른답니다. 오랜 역사 속에서 만들어진 정감 있는 우리말이지요.학술적으로는 매목은 매과와 수리과로 나뉘어진 답니다. 매과에는 시속 400km에 달하는 빠른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