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분석했다. 그 결과 강물 1L에 PDE-5 억제제가 탄천에서는 88ng(나노그램·1ng은 10억 분의 1g), 중랑천에서는 62ng 포함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하수처리장을 지나기 전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의약품 성분이 현재의 하수처리기술로는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doi: 10.1038/s41598-021-890 ...
- [한페이지 뉴스] 별 집어삼키는 블랙홀, 별 만들기도 한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원료 기체를 덜 잃게 된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블랙홀이 만드는 이 공간은 중심은하의 단축 방향으로 크게 생성되고, 그 결과 장축보다 단축에 있는 위성은하에서 더 빠른 시간에 별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블랙홀이 일종의 ‘보호막’을 만들어 위성은하에서 별이 형성될 수 ... ...
- [한페이지 뉴스] 이론이 틀렸다, 그래핀보다 인성 10배 높은 2차원 소재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1-03488-1 물질의 여러 특성 중 강도는 단순히 변형에 견디는 힘을, 인성은 균열이 있는 물질이 완전히 파괴될 때까지 견디는 힘을 나타낸다. 그래핀은 강도가 높지만, 인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변형에 견디는 힘 자체는 강하지만 결함이 ... ...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눈치’를 보며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런 특성은 그간 개와 인간의 소통을 연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됐습니다. 먹이가 꺼내기 어려운 곳에 있을 때 개는 인간을 바라보며 해결책을 찾는데, 이런 모습은 개의 조상이라 여겨지는 늑대에게선 쉽게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사라 마샬 페시니 오스트리아 ...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응원을 함께 들을 수 있다.17년 동안 땅속에 있던 브루드 텐은 기온이 약 17.7℃가 되는 5월 중순 미국 동부에 나타났다. 이들은 7월 초까지 뜨겁게 사랑을 나누고 나뭇가지 위에 알을 남긴 뒤 죽어 다시 흙 속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그들의 자손은 17년간 땅속에 숨어있다가 2038년 등장할 것이다. 그런데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그는 그런 내 손등을 두드렸다. 손가락 하나 하나가 움직였다. 엄지 두 번 검지 한 번 중지 두 번. 이렇게 내 손등을 두드렸다. 마치 신호를 보내듯. 나는 우리끼리 사전에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수신호를 설정하지 못한 게 아쉬웠다. 하지만 그냥 믿기로 했다. 그가 내 손등에 보낸 움직임은 나를 ...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나는야 달콤 젤리 요리사~! 커다란 곰젤리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얼마나 더 큰지 와닿지 않죠? 이럴 때 필요한 수학이 바로 ‘비율’이에요. 비율은 두 수 중 한 수를 기준으로 다른 수를 비교해 나타낸 것이에요. 비율은 분수로 표현하는데, 기준이 되는 수는 ‘분모’, 비교하는 수는 ‘분자’에 놓아요. 슈퍼에서 파는 작은 곰돌이 젤리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 ...
- 송이송이 얼음송이, 눈 결정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다른 모양을 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육각형 형태를 띠고 있지요. 눈은 공기 중에 있는 물 분자가 얼면서 서로 뭉치고 커져서 땅으로 떨어지는 거예요. 이때 맨 처음 얼음이 되는 물 분자의 구조가 육각형이기 때문에 눈 결정도 육각형을 띠게 됩니다. 온도와 습도에 따라 눈 결정의 모양이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숫자와 연산 기호가 적혀 있었어. 계산해 본 결과 각각 4, 2, 3, 14, 6, 8이 나왔지. 나는 이 중 하나가 나머지 다섯 개와 다르다는 걸 깨달았어. 그건 어떤 수인지 찾아봐. 그리고 짝수와 홀수가 무엇인지 설명해봐. 미션 3 미로를 그려 줘!허락 없이 유적지를 파헤치거나 유물을 훔치는 걸 ... ...
- [가상인터뷰] 필요할 때만 “딱” 잠자리표 부목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능력의 비결이 뭐야?비결은 바로 날개야. 두 쌍의 날개가 각각 따로 움직일 수 있어서 공중에 멈추는 것과 뒤로 가는 것이 가능해. 게다가 1초에 40번이나 날갯짓을 해도 거뜬한데, 그 이유는 날개 대부분이 ‘레실린’이라는 단백질이기 때문이야. 레실린은 탄성력이 뛰어나 원래 길이의 3배 이상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