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장애"(으)로 총 3,1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럭과 코딩을 연결하면 우주 관제소가 뚝딱! 다두블럭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7.25
- 다양한 장치들을 만들기 좋아요. 예를 들어 거리 센서와 스피커를 이용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방해물 감지 장치를 만들 수 있지요. 또 블럭으로 만든 자동차에 모터와 LED 전구를 달면 진짜 자동차처럼 방향등을 깜빡이며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답니다. 다두블럭으로 우주 관제탑 만들기 - 정한길 ... ...
- [써보니] MS의 첫 노트북, '서피스 랩톱'2017.07.21
- 음성 인식이 더해졌다는 의미도 있지만 다른 생각도 스친다. 그 동안 여러 운영체제들이 장애인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하기는 했지만 보통 메뉴를 읽어주는 것 자체는 따로 메뉴를 켜야 했다. 서피스 랩톱과 윈도우10S의 설정은 코타나를 입히면서 자연스럽게 모든 입력 가능성을 열어버렸다. 깨닫지 ... ...
- 거미처럼 벽 타는 ‘스파이더맨 슈트’ 현실화될까?동아사이언스 l2017.07.21
- 습득한 정보를 착용자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증강현실로 표현한다. 어두운 공간에서 장애물의 윤곽선을 표시해 착용자는 쉽게 길을 찾을 수 있다. 사진은 스웨덴에서 개발 중인 스마트 헬멧의 증강현실 상상도. - FRT 제공 ● 진짜로 거미 흉내 내는 스파이더맨 # 친구들이 위험에 빠지자 이들을 ... ...
- 치매 유전자 돼지로 신약 개발할까과학동아 l2017.07.20
- 뇌세포 안에 타우(Tau) 단백질이 쌓이면서 뇌세포를 파괴시키는 병이다. 기억장애와 언어장애를 일으키며 아직까지 치료 방법이 없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설치류를 이용해 왔다. 하지만 설치류는 사람과 생리학적으로 매우 다르다. 그런데 최근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 ...
- [현장] “장애 사원이 일반사원보다 성과 30% 높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7.17
- 사회진출과 권리에 관심 많은 IT, 스타트업 기업들이 합심해 이번 자리를 마련했다”며 “장애인 구직자에 대한 인식 개선과 기회 부여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 필자소개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 심재석 기자는 IT전문기자 모임인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정신과장 및 이화여대, 경희대 의대 외래교수를 지내면서,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고, '행복의 ... ...
- [카드뉴스]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동아사이언스 l2017.07.15
- 받습니다. 스스로 먹는 습관을 길러 어느 정도 건강해지면 정신과 치료를 받습니다. 섭식장애는 병입니다. 다이어트로 건강을 찾기보다 몸과 마음이 병들고 있진 않은지 생각해봐야 하겠습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07년 05월호 ‘죽음을 부르는 마른 ... ...
- 임신중 비만 엄마, 아들에게 어떤 영향이 끼칠까동아사이언스 l2017.07.13
- 엄마에서 나오는 화학 물질에 여자 아이보다 남자 아이가 취약하기 때문에 발달장애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인터류킨(Interleukin):몸안의 세균이나 해로운 물질을 면역계가 맞서 싸우도록 자극하는 단백질임. 공동연구자인 줄리아나 디어도르프 박사는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보다 엄마의 ... ...
- 의족이면 어때? 장애 여성의 즐거운 유럽 여행팝뉴스 l2017.07.12
- 팝뉴스 제공 미국 필라델피아 출신의 데번 갤러거는 어릴 적 네 살 때 선천적인 골격이상 때문에 한 쪽 다리를 잘라내야만 했다. 데번은 그 때부터 한쪽 다리에 의족을 차고 살아야 했지만 결코 실망하지도 않았고, 장래에 유럽 일주를 떠나겠다는 꿈을 버리지도 않았다. 그리하여 마침내 혼자서 ... ...
- [카드뉴스]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2017.07.08
- 심하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꿈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경우를 ‘렘수면 행동장애’라고 합니다. 60-70대 남자 노인에게 많으며, 근긴장도가 억제되지 않고 렘수면을 발생시키는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길 때 나타난다고 합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01년 09월호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