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7,01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각형은 팔방미인
수학동아
l
201006
실이나 작은 결정을 넣어 두면 거기에 계속 달라붙어 결정이 커지는 것이다. 교과서의
실험
에서 철사에 털실을 감은 이유는 매끄러운 표면보다는 거친 표면에 결정이 더 잘 달라붙기 때문이다.그런데 다각형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결정의 모양을 잘 보자. 깔끔하게 잘 만든 백반 결정은 팔면체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우리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밤낮없는 연구와
실험
을 통해, 가로세로 1㎝ 길이의 작은 면적에 일반 콘크리트의 세 배가 넘는 8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 했다. 그래! 바로 이것이다!빨리 굳는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비밀시멘트는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가스 레이저 같은 연속 빔을 만들 수 있음을 뜻했다.이어 TRG에서도 1962년 3월 세슘 레이저
실험
에 성공해 굴드의 아이디어를 입증했고, 그해에 로버트 홀은 오늘날 레이저 상용화에 공헌한 반도체 레이저를 개발했다. 반도체 특성에 바탕을 둔 반도체 레이저는 상온에서 잘 작동하므로 CD 및 DVD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보이는 단백질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20여 년 전부터 이런 일들을
실험
실에서 시도하기 시작했다.리보솜이 mRNA의 염기정보에 따라 아미노산 사슬을 만들 때는 아무 자리에서나 시작하는 게 아니라 ‘AUG’라는 개시코돈에서 시작한다. 개시코돈은 아미노산 메티오닌을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05
전달자, 생각하는 주체로 내세운 것이다. 글과 사진뿐 아니라 만화라는 새로운 장르적
실험
도 돋보인다. 과학동아와 한겨레신문에 해부학 만화를 연재해 ‘해랑 선생’으로도 알려진 정민석 아주대 의대 교수의 4컷 만화인 ‘꽉 선생의 일기’는 과학계 안팎을 떠도는 오랜 관념과 편견에 대한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실었다.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는 커넥톰을 연구하기 위해 MRI를 이용한 뇌 네트워크
실험
그룹, 미세부분의 신경세포 활동을 연구하는 그룹, 뇌질환을 연구하는 의학자 그룹과 협력하고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김정한 소장은 “뇌과학계에서 응용수학을 폭넓게 사용하게 하는 것이 앞으로의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05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영국 런던대 레이먼드 돌란 교수팀은 가상공간에 있는 맹수가
실험
자를 향해 다가올 때 뇌가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를 핵자기공명영상으로 관찰해 2007년 8월 24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결과 맹수가 멀리 있을 때는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영역인 전뇌가 활성을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박 교수는 100nm~200nm 크기의 미세한 기둥을 세운 광결정에 빛을 발생시키고 증폭시키는
실험
에 성공해 1μm의 ‘초미니 레이저’를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그런데 최근 공명기의 크기가 레이저광의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가 30μm, 높이가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난간의 높이를 재려다가 바깥뜰로 떨어져 팔이 부러졌고, 등유의 일종인 케로신을 갖고
실험
을 하다 불을 낸 적도 있다. 요나트 박사는 자신이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한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뭘까’라는 호기심이었다고 말한다. 리보솜 연구 초기에 당시 바이츠만연구소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05
힘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장에 따라 포획할 수 있는 물체의 크기는 어디까지인지
실험
과 함께 이론적인 계산으로 증명하는 식이다. 이 교수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