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폭염, 4년 더 이어질 수 있다” 프랑스 연구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변화 추세를 추적 예측한 결과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4
일자
에 발표됐다. 세벨레크 연구원 팀은 1880년부터 2016년까지 136년 동안의 기후 데이터를 이용해 기존 기온 변화를 잘 설명하는 새로운 통계 모형을 만들었다. 여기에 이미 존재하는 10개의 기후 예측 ... ...
곰이 차 문을 열고 절도 행각
팝뉴스
l
2018.08.15
달아나가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그 주인공이 곰이라면 아주 희소한 사건이다. 현지
일자
8일 미국의 언론들이 공개한 보안 카메라 영상을 보면 곰은 사람 같았다. 자동차에 접근하고는 일어서서 앞발로 문을 열었다. 그리고 차 안을 뒤져 뭔가를 입에 물고 달아났다. 차문을 닫았다면 완벽한 ... ...
암세포 끌어당기는 ‘자석 철사’
과학동아
l
2018.08.14
미국 스탠퍼드대 약대 연구팀이 암 검진을 위해 종양세포를 잡아내는 ‘자석 철사’를 개발했다. GIB 제공 연구팀은 혈액 속 종양세포에 들러붙는 나노자석 ...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7월 16
일자
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51-018-0257- ... ...
독성 분석하는 인공지능 ‘라사르’
과학동아
l
2018.08.13
미국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토마스 하르퉁 미국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유럽화학물질 ... 다양한 독성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독성학’ 7월 11
일자
에 실렸다. doi:10.1093/toxsci/kfy15 ... ...
휴대용 전자기기 옷처럼 입고 다니는 시기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8.08.13
센서까지 갖춘 반도체 기기를 섬유 형태로 구현하는 데 처음 성공해 학술지 ‘네이처’ 8
일자
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이 섬유형 전자기기를 가공해 마음대로 구부리고 심지어 물에 빨 수도 있는 천으로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다. 마이클 레인 MIT 재료과학과 연구원팀은 광섬유를 만드는 기존 공정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에도 찌꺼기 배출하는 림프관 있다…알츠하이머병 치료 단초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12
있으며, 알츠하이머병(치매) 발병과도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네이처 9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뇌를 덮고 있는 뇌수막 속에 림프관이 있으며 이를 통해 뇌는 뇌척수액에 떠다니는 세포 찌꺼기를 배출한다. 연구진은 별다른 질병이 없는 평범한 쥐도 뇌수막 림프가 ... ...
바다에 내려 앉은 구름
팝뉴스
l
2018.08.11
제공 해외 SNS를 떠들썩하게 만든 위 이미지는 현지
일자
8월 5일 영국 콘월에서 촬영되었다. 구름이 바다에 내려앉은 것 같다. 대단히 신비롭다. 그런데 공포감을 느낀다고 말하는 네티즌들도 있다. 거대한 쓰나미 파도가 몰려오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이류안개(advection fog)라 ... ...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08.10
세포가 뇌종양으로 전이되는 새로운 경로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7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에 걸린 쥐의 두개골 내에서 골수에 연결된 혈관을 따라 ALL 세포(보라색)가 움직이고 있다. - Dorothy Sipkins 제공 십킨스 교수팀이 연구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은 ... ...
인간만이 가진 특별한 ‘언어 유전자’는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있는 특별한 유전자가 아니다”라는 연구 결과를 생명과학 학술지 ‘셀’ 온라인판 2
일자
에 발표했다. FOXP2 유전자는 2002년 볼프강 에나르트 독일 루트비히 막시밀리안대 교수팀에 의해 유명해진 유전자다. 원래 이 유전자는 언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는 유전병으로 고통 받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 ...
영장류-인류 언어 능력 차이, 비밀은 뇌 곳곳의 ‘크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크기가 언어 발성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 학술지 ‘신경과학의 최전선’ 9
일자
에 발표했다. 기존에는 뇌 전체의 크기가 언어 발달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실제 뇌 크기와 발성 능력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가 발견되지 않아 가설에 머물러 왔다. 연구팀은 먼저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