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d라이브러리
"
아이디어
"(으)로 총 2,54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비싸진다.최근 일본항공사의 엔지니어인 마노메 히로마치는 이 문제를 해결할만한
아이디어
를 내놓았다. 그가 개발한 방법은 사실 19세기 러시아 과학자인 바흐메티프가 발견한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바흐메티프는 겨울철 시베리아의 꽁꽁언 강물 속의 물고기들이 마치 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봄이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활발해 박씨는 대규모 공장건설을 서두르고 있다. 「벽돌아빠」의 성공담독자적인
아이디어
로 조립식 벽돌을 발명, 실용신안과 의장등록을 받음으로써 발명업계와 인테리어업계에 신선한 화제를 불러 일으키고 있는 김정호씨도 성공케이스의 좋은 예중 하나다.김씨가 발명한 조립식 벽돌은 ... ...
제3회 보람과학퀴즈대회 열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빌리기는 하지만 단답식의 해답을 요구하는 일반퀴즈와는 달리 참가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와 논리적인 설명을 중시한다.출제된 문제는 '책상위의 우주여행' ' 인체탐구' '생물의 겨울' '부엌의 과학'등 생활주변에서 찾은 소재들. 출제자 역시 과학반 활동을 하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라는 점이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들어와서 그는 설계팀에게 가족용으로 확장이 가능한 차량을 만들라고 지시했다. 차의
아이디어
는 좋았지만 실제로 만드는 데는 몇가지 문제가 생겼다. 배기가스 문제나, 연료 안전문제 차의 견고성 등이 지적됐다. 그 중에서도 구조상의 견고성이 제일 큰 문제로 부각됐다. 크라이슬러사의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쓰기만 하면 됐다. 서브루틴이라는 개념이 이때부터 생겨났다.그러나 글레니의 천재적인
아이디어
는 많은 프로그래머들에게 경계의 눈초리를 받았다. 그 시절 암호와 같은 어셈블리언어나 그보다 더한 기계어로 능수능란하게 프로그램하는 능력은 신비스런 기술로 추앙받았다. 자기만의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산학협동의 결정체 KAIST란 그림은 그러나 실현되지 못했다. 오히려 기술개발로 연결될
아이디어
를 창출해 내야할 연구소와 과학기술전문 인력을 만들어내야 할 대학원이 서로 자기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방황할 수밖에 없었다. 거세어진 밖으로부터의 도전한편 KAIST의 학사부, 즉 옛날의 과학원이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등가원리가 일반상대성에 기초한 게 아니고 오히려 시공이 휘어졌다는 좀 더 폭넓은
아이디어
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뉴턴이 제안했던 약한 등가원리의 내용에서 자유낙하 물체의 체적은 낙하체의 내부 구조나 성분에 독립적임을 알 수 있다. 약 등가원리에 따르면 '중력장 속에서 두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언어체계를 준비했다.왕의
아이디어
는 대성공이었다. 초라한 다락방에서 시작한 왕연구소는 일약 컴퓨터계의 강자로 부상하면서 1980년대 초에는 세계 워드프로세서 시장의 30%를 장악하기도 했다. 기존의 타자기는 서서히 값싸고 다양한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왼손·오른손잡이의 구별이 비교적 명확한 야구선수를 조사대상으로 삼은 것은 참심한
아이디어
로 평가되고 있다.한편 운동신경은 왼손잡이가 상대적으로 무딘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대 최창국교수(체육학)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왼손잡이는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속도나 전신반응속도에 있어서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생각해도 좋다. 프리드만 방정식에 따르면 예측할 수 있는 시간의 시작과 끝은 그 이전의
아이디어
와는 상당히 다르다. 프리드만 이전의 방정식 해(解)에 따르면 시간의 시작 혹은 끝이 있어야 할 필요가 없었다. 달리 말하면 프리드만 모델에서는 시간의 시작과 끝은 역학적인 원인으로 생긴다.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