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명"(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어미들이 보금자리를 공유하면서 새끼를 돌보는 다른 암컷들고 가까운 친척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이미 암컷 쥐고 유전적으로 가까운 수컷과 짝짓기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전의 연구에서 밝혀졌으므로 최근의 연구는 집쥐가 자신의 유전적 친족을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증해준다.프랑스의 ...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바이러스가 분리확인됨1952년 미국의 허시 등, 파지의 감염은 DNA의 주입으로 일어남을 증명1953년 미국의 왓슨과 영국의 크릭, DNA의 이중나선구조 모델 제창1963년 미국의 달베츠코, 바이러스에 의한 시험관내발암에 성공1964년 영국의 엡스타인 발, 사람의 버키트임파종에서 EB바이러스 발견. 사람의 ...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왜 곤충류가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현재까지 다수 존재하는지를 화석을 통해 증명하고 있다. "어떤 기준으로 보면 곤충류는 성공한 동물이다. 그들은 육지에, 또 공중에 진출한 최초의 동물이다. 현재 87만6천종이 동정(同定)됐고 확인되지 않은 것을 합치면 1백만종 가량 될 것이다. 4천종 밖에 ...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과학동아 l1994년 01호
- n 값이 끌개의 차원값의 약 두배 이상 크면 운동의 동일성이 보장된다는 수학적 정리가 증명되었다. 따라서 n과 T가 잘 선택되면 이 벡터열을 이용하여 원래의 끌개를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이와같은 방법으로 재구성된 기이한 끌개는 물론 원래의 끌개와 정확히 같은 형태는 아니고, 일반적으로 ...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측정했다. 이 방법의 기본원리는 1880년대 미국의 마이켈슨이 우주 에테르의 존재를 증명할 목적으로 사용한 마이켈슨 간섭계와 비슷하다.본격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탐지장치는 독일 뮌헨의 막스플랑크연구소에 있는 간섭계이다. 중앙에 강력한 레이저발생기가 있고 30m 길이의 두 방향으로 ... ...
- 공룡 절멸시킨 충돌소행성 크기에 새 가설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충돌 때에 일어나는 원추형 암석판을 지름 3백㎞의 바깥쪽에서 발견하지 못하면 증명될 수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충돌천체의 지름이 지금까지 생각돼온 것의 1.5배라 한다면 충돌에너지는 그 7-8배가 되고 지름 10㎞의 천체가 충돌했다는 말이 된다. 이는 헬리혜성과 마찬가지 정도의 크기가 된다. ... ...
- 동물들의 의사교환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음파를 단순히 청취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그 속에 담긴 뜻을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근거를 다수 확보하고 있다.초저주파 음파를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동물은 고래를 비롯해 하마 코끼리 아시아 아프리카산 악어(크로코다일이라고 부른다) 미국산 악어(앨리게이터) 코뿔소 ... ...
- 임산부 혈액으로 태아의 DNA 정보 알아낸다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유핵적혈구의 DNA로부터 태아의 성별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유핵적혈구가 태아의 것임이 증명됐다.이로써 태아의 혈액이 극히 미량이지만 지속적으로 어머니의 혈액으로 옮아가고 있음이 중명된 셈이다. 이 방법으로 어머니의 혈액에서 태아 DNA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가까운 ...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당시의 상황과 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면 그것은 열줄, 열장의 문장보다 날카로운 증명과 설명인 것이다. 필림만 넣으면 자동으로 감아주고 조리개, 셔터속도, 초점조절까지 알아서 해주는 자동카메라 덕분에 이제는 아무 생각없이 누구나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세상이 됐다.그러나 ...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과학동아 l1993년 11호
- 파장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이다. 이미 이러한 적색편이 현상은 여러번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가장 유명한 것은 뫼스바우어 효과(Moessbauer effect)로 지표면 일정 고도에서 방출된 빛이 지표면에 도달했을 때 그의 파장이 줄어드는 현상이다. 이 실험을 통해 사람들은 원래 노란색의 빛이(예를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