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 냄새 흉내 내 위장하는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비슷한 모습으로 위장하더라도 냄새를 바꾸지 못하면 소용없다”고 말했어요. 동료
박사
필립 먼데이 역시 “할리퀸 피시는 산호 가지처럼 생긴데다가, 자신이 먹는 산호의 냄새를 흉내 낸 덕분에 밤중에도 안전하게 숨어 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수학뉴스]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 시공간의 특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잰 보이언스
박사
는 “전 우주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황금비율은 프랙털(자기 유사성)의 성질과 같다”며, “휘어진 시공간의 특성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우주가 왜 황금비율을 따르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분류한 대칭 패턴특별 컨퍼런스의 공동 주최자인 캐롤린 야켈 교수는 사라 마리
박사
와 함께 구로 나타낼 수 있는 대칭의 종류를 밝혔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모든 정다면체는 구에 내접할 수 있다.캐롤린 교수는 이를 활용해 구 안에 정다면체가 내접했다고 가정하고 구 표면에 정다면체의 핵심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발견한 판피어 동갑목(antiarchs) 화석을 연구했어요. 어느 날 동료인 엘가 마크쿠릭
박사
가 제게 밀봉된 박스 하나를 건넸습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져온 뼈 화석 한 점이었어요. 저는 그걸 들여다 보다가 2cm가 채 안 되는 작은 뼈를 발견했습니다(119쪽 사진). 처음엔 그게 뭔지 몰랐지만 들여다 보고 또 ... ...
아빠가 설탕 좋아하면 자녀가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인간도 부모 세대의 환경이 자녀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포스피실릭
박사
는 “지금까지 부모 세대의 경험이 자녀의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이 유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보여 준 실제 사례”라고 말했어요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튀어나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지요. 명예기자들은 케이스타의 각 장치를 눈으로 보며
박사
님으로부터 그 역할에 대한 설명을 들었어요.“케이스타는 크게 다섯 가지 시설로 구분할 수 있어요. 가장 가운데 플라스마를 가두는 토카막주 장치와 토카막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귀환하고 나면 다시 회복되니 걱정 말도록.”진료가 끝났다. 진료실을 나서는데, 하우스
박사
가 다시 한번 힘 주어 강조했다.“운동 처방 꼭 받게. 체력단련실에 전화 해 두겠네.”마지막 목소리는 어째 지상에서 훈련 받던 시절의 교관을 떠올리게 했다. 얼마나 더 혹독하게 시키려고 그러나 ...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찾아내는 탐사를 추가해 좀 더 심화된 형태로 진행할 예정이에요. 농촌진흥청의
박사
님께서 탐사대원들이 찾은 밀원식물을 감수하고 어떤 식물이 중요한지 직접 알려 주실 거랍니다. 또 우리 주변의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식물 탐사가 추가돼요.각 탐사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는 홈페이지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연료를 훨씬 덜 먹는 새로운 엔진이 없을까요?린다 라르손 스웨덴 차머스기술대
박사
: ‘개방형 회전날개 엔진’은 대표적인 차세대 엔진입니다.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빨아들여 연료와 섞어 폭발시킨 뒤, 그 힘으로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두 벌의 프로펠러를 돌려 추력을 내지요. 크고 무거운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넓어진 것.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한 에볼라가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하는 이유다.김
박사
는 이번 에볼라 사태를 ‘제2의 에볼라’를 대비하는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나올 새로운 전염병에 어떻게 대응할지 경험을 쌓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서아프리카에 의료진을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