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터 없이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놀라울 따름이야. ‘고무줄과 프로펠러의 결합!’고무줄 프로펠러 자동차전민호언뜻
보기
엔 비행기 같은 전민호 친구의 프로펠러의 자동차. 바로 비행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프로펠러의 원리를 멋지게 자동차에 이용한 거지. 프로펠러와 고무줄을 연결해 고무줄을 잔뜩 감았다가 풀면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재해 화제를 낳았다. 그 글들을 모아 책으로 펴낸 것이 이번에 나온 ‘과학으로 세상
보기
’다.“어렸을 때는 할머니 손에 이끌려 절에 다닌 기억이 납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불교에서 관심이 멀어졌죠. 산 속에만 있는 종교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미국 유학시절 과학의 구조와 불교의 사고가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왼쪽 얼굴의 무표정한 모습을 우세하게 느끼고 언뜻언뜻 오른쪽 얼굴의 웃는 표정을
보기
때문에 웃는 듯 마는 듯 하는 신비한 미소를 느끼게 된다. 모나리자의 좌우 입술을 서로 바꿔 실험한 결과 웃는표정이 우세해지고 신비감이 떨어졌다.모나리자 뿐만이 아니다. 지 교수는 "명화의 아름다움은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자극하는 과정으로 이뤄진다.연구자들은 신경세포 내에서 분자수준의 변화를
보기
위해 쥐의 뇌를 여러 절편으로 자른 다음 해마나 편도체 등에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일정한 자극을 가했다. 그 결과 자극의 세기와 빈도에 따라 시냅스가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때 시냅스가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가운데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로 사람들이 모여들고 있었다. 챌린저호의 이륙을
보기
위해서였다. 5번이나 이륙이 지연된 끝에 결정된 날이었다. 그 날은 NASA에서 우주왕복선을 띄운 이래 가장 기온이 낮았다.‘투, 원, 제로.’ 오전 11시 38분 드디어 기다리던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요란한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이라며 “지금까지 발견된 소행성 중에는 높은 편이지만 실제로 위험한 소행성이라고
보기
는 어렵다”고 설명했다.다만 소행성 2004MN4은 태양과 지구 안쪽 궤도를 돌고 있어 관측할 기회가 매우 적다는 것이 문제다. 소행성이 태양에 가려 사라지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 소행성을 관측할 기회는 200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표면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원자의 크기까지 고려한 것. 이 방법을 쓰면 겉으로
보기
에 같은 평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단백질도 어떤 것은 편평하고 어떤 것은 울룩불룩하며, 심지어 8자 모양으로 꼬여 있는 구조라는 것까지 구별해낼 수 있다.그에게는 단백질 분자가 서로 결합해 있다는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가면 ‘요술도로’ 또는 ‘도깨비도로’라고 불리는 길이 있다.
보기
에 분명히 오르막인데 구르는 물체를 놓아두면 오르막을 올라가는 것 같이 보여 붙은 이름이다.그 이유는 주위 환경에 의한 시각적 혼선에서 비롯된 ‘착시’ 때문이다. 주변의 나무들이 자란 방향을 보고 오르막이라고 ... ...
제13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큰곰자리 나선은하 M81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금성의 태양 표면 통과 현상, 혜성(맥홀츠)이 별무리(플레이아데스성단) 근처를 지나가는
보기
드문 현상을 찍은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 심사위원장인 이명균 서울대 교수(천문학)는 “일반부문의 수상작은 모두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좋은 작품이 많았다”고 밝혔다. 모든 당선작은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처럼 디자인 세계에서도 ‘
보기
좋은 디자인은 곧 명기(名器)’로 통한다. 아무리 앞선 기술이나 아이디어도 소비자의 세련된 감각을 따르지 못하면 살아남기 힘든 게 오늘의 현실이다. 국내 기업을 비롯해 대표적인 해외 유명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디자인 분야에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