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방
전면
앞쪽
표면
정면
선두
프런트
d라이브러리
"
앞
"(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꽃차례에 송송 나 있는 가시털이 황금색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지요. 덕분에 강아지풀
앞
에 ‘금’자를 붙여 금강아지풀이란 이름을 갖게 됐어요. 금강아지풀은 농경지 길가는 물론 도시의 하천변이나 고수부지 등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답니다.강아지풀속 식물은 바람이 불면 쉽게 흔들려요. ... ...
[과학뉴스] 괌
앞
바다산에 출연연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동쪽
앞
바다 해산에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이름이 붙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2016년 취항한 이사부호 탐사팀이 발견한 수중화산의 이름을 ‘키오스트 해산(KIOST Sea Mount·아래 오른쪽 사진의 빨간 네모)’으로 정했다고 1월 16일 밝혔다. 이 해산은 박요섭 책임기술원 등 연구진이 지난 ... ...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화학및환경공학과 교수팀은 갯가재의
앞
다리에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독특한 구조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갯가재의 다리를 긴 나선형 구조의 섬유로 이뤄진 부분과, 빽빽하게 줄무늬가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선수의 손을 떠나 미끄러져 갈 때 스톤 밑바닥 미세한 요철이 회전을 만드는 거야. 스톤
앞
부분이 얼음 위를 긁고 지나가면, 스톤 뒷쪽 돌출부가 그 긁힌 자국을 따라 기울어진다는 것이지. 이렇게 스톤 스스로 회전을 만들어! 얼음 표면에는 미세한 크기의 기포도 많아. 경기장에 뜨거운 물을 뿌려 ... ...
[공지]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에피소드가 있다면 알려주세요.비가 오는 날 매미는 무엇을 하고 있을지 궁금해서 집
앞
에 나가봤더니 마침 나무를 오르는 매미 약충이 있었어요. 날개를 펼치면서 날개가 비에 젖을까 봐 걱정돼 집으로 데려왔지요. 화분에 굵은 나무 막대기를 꽂아놓고 약충을 붙여두자 우화에 성공했어요! 이런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1979년 보이저 호가 관측했던 크기보다 3분의 1 정도 줄었지요. 스콧 볼튼 연구원은 “
앞
으로 주노 탐사선이 보내주는 정보를 토대로 대적점의 형성 원리를 정확히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는 200개나 되는 눈을 몸 전체에 배치하고 있다”며, “눈
앞
의 포식자를 더 잘 파악하고, 사방에 있는 먹이를 더 잘 탐색하기 위해 이런 눈을 가지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조에서 뛴 쿤페르베이(네덜란드)가 결승선을 통과하자 전광판에는 1분45초00이 떴다.
앞
조에서 먼저 레이스를 마친 즈비그니에프 브로드카(폴란드)와 동일한 기록. 공동 1위였다. 하지만 스피드스케이팅은 1000분의 1초까지 기록을 확인해 승부를 가린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올림픽 공식 타임 키퍼인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상 다중이용업소는 피난층(1층) 이상층부터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게 돼 있다. 여기에
앞
으로는 에어커튼 기술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중이용시설의 출입문이나 화재셔터가 내려오는 부분에 터널처럼 에어커튼을 다는 식이다. 화재로 한쪽 문이 막힌 상황에서, 다른 쪽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분석 결과 허벅지
앞
부분의 길게 뻗은 근육인 대퇴직근은 코스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앞
뒤 방향 기울기가 커지면서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근육 활성이 최고 30.54% 증가했다. 정강이 뒷부분의 두 갈래로 나뉜 비복근 역시 경사에 따라 근전도가 최고 30.52% 증가했다. 비복근 아래에 있는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