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실용화되기까지는 앞으로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군사적인 목적으로는 일부 단
편
적인 기능만 가진 로봇 물고기도 유용하기 때문이다. 바닷가재 로봇이 좋은 예다. 바닷가재 로봇은 해안의 수중 기뢰를 찾는다든지 해저 바닥을 탐사하는데 효과적이다.최근 개발되는 수중 기뢰는 연안의 수심이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무두장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중학교에서 초기 성적은 평균보다 약간 나은
편
이었지만 학문적 열정을 일깨운 교장 선생님 덕분에 곧 학교의 모든 상을 휩쓸었다.1842년 당시 최고학교였던 고등사범학교 입학시험에서 합격생 22명 중 15위를 하자 입학을 포기하고 이듬해 다시 시험을 치러 4위로 ... ...
비타민C 감기에 효과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로버트 더글라스와 핀란드 헬싱키대 하리 헤밀라 교수팀은 비타민C의 효과에 대한 논문 55
편
을 검토해 일반인에게 비타민C가 큰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스키 선수, 등산가, 마라톤 선수처럼 추운 환경이나 육체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사람들의 경우 비타민C가 50%까지 감기를 예방하는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주파수를 일괄하는 범위 이 성질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큰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편
의상 30KHz를 기점으로 하고 주파수 10배마다 구분하여, 그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특정주파수대로 하여 각각에 명칭을 붙이고 있다 또 전파의 속도는 공기속에서 1초 동안에 30만km이기 때문에, 구분을 3의 배수로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불구하고 일부 종들은 오래 번성하지 못하고 역사의 뒤켠으로 금새 사라지고 만다.한
편
에서는 공룡의 친척뻘인 도마뱀과 뱀이 삶을 이어가고 있다. 가장 흔한 파충류로 알려진 도마뱀은 중생대에도 6000여종 이상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첩한 동작으로 벌레잡이에 능숙한 도마뱀은 공룡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설립하겠다는 꿈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었는지 모른다. 일제는 겉으로 문화정책을
편
다면서도 속으로는 조선인들이 대학을 설립해 그들에 의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을 원치 않았던 것이다. 일제의 방해 공작은 노골적이었다. 우선 조선교육협회에 대한 인가를 내주기까지 거의 1년 반을 끌었다.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마침내 별까지의 거리가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천문학은 또다른 막을 열게 됐다. 이 한
편
의 드라마를 통해 우리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과학이 발전해가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 ... ...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 간직한 분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최북단에 있는 섬이다. 백령도와 대청도의 유명세에 가려 소청도를 찾는 관광객은 뜸한
편
이다. 그러나 섬 동쪽 해안에는 마치 바위에 하얗게 분칠을 한듯해서 ‘분바위’라고 불리는 대리석 기둥들이 해안선을 따라 병풍을 두른 듯 위용을 드러내며 푸른 바다와 조화를 이루고 있어 장관을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떨어지고…. 거의 쓰러지기 일보직전의 썰렁 홈즈. 하지만 행운의 여신은 썰렁 홈즈의
편
? 모래 언덕을 넘어서니 눈앞에 조그만 오아시스가 보이는 게 아닌가? 썰렁 홈즈는 힘을 내 오아시스까지 달려갔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오아시스의 주인인 사막의 악동, 모래아리 까끄르가 썰렁 홈즈를 가로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진출했고 매드맥스는 디스토피아(부정적인 미래)를 묘사했다. 첫 작품이 히트하면 속
편
이 계속 나오는 것도 스타워즈의 영향이었다.왜 스타워즈가 이처럼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을까. 장 교수는 “스타워즈를 보면 이것이 미래인지 중세인지 헷갈리곤 한다”고 말했다. 우주선은 첨단인데 사람들의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