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81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분자 검출하는 나노안테나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있어 서로 상호작용하는 특성이다. 강한 전압으로 빛을 모으려 해도 모을 수 있는 빛의
크기
가 제한된다.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미노’ 놀이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방식의 ‘연속 도미노 리소그래피’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빛에 노출되면 화학적 특성이 변하는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다단계 병합’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마치 눈사람을 만들 때처럼, 작은
크기
의 별질량 블랙홀을 단계적으로 뭉쳐 중간질량 블랙홀을 만들 수 있다는 사례를 적어도 하나 확인했다"며 "이런 식의 생성 방식으로 헐씬 거대한 초대질량블랙홀까지 만들 수 있는지, 아니면 이 방식으로도 ... ...
[인간·공감·AI] ⑥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잡아" 신개념 코로나19 바이러스 탐지 센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패치형 센서를 추가할 계획이다. 이 패치형 센서는 100원짜리 동전
크기
로 팔뚝에 붙여 사용한다.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을 사용해 센서에 휴대전화를 가져다 대면 붉은색 빛이 깜빡거린다.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됐다는 신호다. 따로 전력이 필요없다. 센서는 곧 ... ...
뉴턴의 실험 노트 온라인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현존하는 기록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받는 점토판과 17세기 지구와 다른 천체의
크기
를 비교한 삽화, 중국에서 수채화 방식을 이용하 그린 최초의 그림책 등이 공개됐다. 제시카 가드너 케임브리지대 도서관 사서는 “이번 파트너십은 여행할 수 있는 사람이 적은 이때 전 세계 수백만 명의 ... ...
ETRI, 30도 시야각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학회 최고상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용해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홀로그램 영상 사진이다. 픽셀의
크기
가 작아지면서 정면이 아닌 측면 각도에서도 홀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ETRI 제공 연구팀은 빠르게 구동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소자(DMD)를 공간광변조기로 써 360도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컬러 디지털 홀로그램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활용 가능하다. 연구팀은 개발한 컬러필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마이크로미터
크기
의 픽셀을 갖는 컬러프린팅 기술을 구현했다. 실험 결과 IGZO 층의 전하 농도에 따라 색을 임의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소재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고 빠르게 구조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 ...
서울대병원 암세포 잡는 최고 수준 중입자가속기 도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도입하는 중입자 가속기는 중입자 빔의 전달 속도와 범위를 뜻하는 선량율과 조사야
크기
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전체 무게도 크게 줄였다. 중입자 가속기에는 환자 주변을 360도 회전하며 어느 각도에서나 빔을 조사하는 회전 갠트리라는 기기가 포함된다. 기존 회전 갠트리는 무게가 500t에 ... ...
'원자력 공장' 두산중공업이 승부수 던진 소형모듈원전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UNIST) 등에서도 SMR 개발을 진행중이다. 뉴스케일파워가 개발한 SMR의 3분의 1
크기
시제품이다. 뉴스케일파워 제공 뉴스케일파워가 개발한 SMR은 60MW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 제작 방식의 원자로다. 뉴스케일에 따르면 외부 전원이나 냉각수 공급 없이 원전을 가동하고 중대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더 많은 공기를 뽑아들이는 농축장치 후속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며 “비슷한 구조와
크기
를 지니고 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환경과학기술’ 24일자에 발표됐다 ... ...
일론 머스크는 왜 돼지 뇌에 생각 읽는 칩을 심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평이다. 조 단장은 “비슷한 연구에 쓰이는 원숭이는 사람보다 작다 보니 실제 뇌
크기
가 사람과 비슷한 돼지를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뉴럴링크에서 기억력 감퇴나 우울증 치료를 목표로 한 만큼 고등 인지를 할 수 있는 어느 정도 똑똑한 동물에게 할 필요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