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뉴스
"
핵심
"(으)로 총 6,06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우주 이어 양자기술도 동맹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인공지능(AI)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세계지식포럼 동영상 캡처 미래 산업과 안보에서
핵심
역할을 할 양자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을 보유한 미국과의 협력이 확대된다. 지난달 열린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양자 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양국 정부 부처간 협력체계 ... ...
"프랑스, 의존 낮추지만 원전은 탄소중립
핵심
수단"…내년 고준위방폐장 ‘시제오’도 착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프랑스 정부는 원자력 에너지를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에너지 정책의
핵심
요소로 꼽는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는 올해 3월 29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원자력 에너지가 EU의 녹색 분류 체계에 포함된 다른 전력 생산 기술보다 건강이나 환경에 더 해롭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 ...
국내서도 코로나 mRNA 백신 개발·생산…"다음 팬데믹 대비"
연합뉴스
l
2021.06.02
에스티팜이 올해 안으로 1상을 개시하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mRNA 합성과 항체 생성에
핵심
적인 5프라임-캐핑(5'-Capping) 기술과 mRNA 기반 약물을 체내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지질나노입자(LNP) 기술을 이미 갖춘 만큼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연합뉴스TV 제공] ... ...
교통 빅데이터 분석기술 개발한 엄진기 철도연 책임연구원 ‘이달의 과학기술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기술기법을 통해 기존의 정밀성과 실용화 문제를 해결하고 차세대 모빌리티 분석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모바일 통신량과 교통카드 등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기법과 개인의 이동행태 분석기법을 접목해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시스템 ‘아바타’를 개발했다. 아바타 시스템은 ... ...
“한국 배터리 산업은 ‘불안한 1등’ 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포럼 캡처 전기자동차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는 배터리 산업에서 한국이 ‘불안한 1등’을 유지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를 확고한 세계 1등으로 다지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구성하는 소재·부품·장비 등 원천 기술 확보와 차세대 배터리의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술 격차를 더 벌려야 한다는 ... ...
[르포]‘누리호’ 로켓엔진 만큼 복잡한 발사대 "집에 못가면서 개발했죠"
2021.06.01
발사 운영 절차를 동일하게 수행한다. 발사만 이뤄지지 않을 뿐 발사 직전까지 가는 게
핵심
이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우리 손으로 만든 발사체를 우리가 직접 설계, 제작한 발사대에 기립한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본다"며 "발사대 기립과 인증시험, 실제 ... ...
[전문] ‘2021 P4G 서울 정상회의’ 채택 ‘서울선언문’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미래 구현을 위한 해결 방안에 금융지원을 통한 민간 투자자와 금융기관의 역할이
핵심
적이라고 본다. 우리는 전 지구적인 기후 의제 및 지속가능발전목표 의제와 연계된 P4G와 같은 활동들에 의해 개발도상국을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시장기반 해결 방안에 투자할 것을 촉구한다. 13. 우리는 ... ...
[Edge Report] 태양전지 산업의 ‘큰 손’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소부장) 기술도 동시에 개발돼야 한다고 조언한다. 엣지리포트 탄소중립 10대
핵심
기술 보러 가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dongascience ... ...
중국 "인공태양 1억2000만도 101초 유지 성공"...앞선 한국 기록과 단순 비교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장치다. 1억 도 이상의 플라즈마 온도를 달성하는 것은 핵융합을 활용하기 위한
핵심
과제 중 하나다. 태양은 중력이 입자를 가둬 1500만 도에서도 핵융합 반응이 잘 일어나지만 핵융합로는 입자 수를 늘리기 어렵다. 대신 열로 운동에너지를 높여 충돌 확률을 높인다. 송윤타오 ASIPP 소장은 중국 ... ...
서울대 ‘훌륭한 공대교수상’에 김선·이종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5.31
소자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첨단 반도체
핵심
소자의 양산 표준으로 쓰이고 있다. 지금까지 총 514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86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특허 실시권 허여를 통해 국내 최고 기술료도 달성했다. 이 교수는 현재 서울대 반도체연구소장을 맡고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